[프라임경제] 볼빅(206950, 대표 홍승석)이 글로벌 브랜드사로서의 도약을 위해 기존 제1공장을 재건하고 양산을 시작한다고 27일 밝혔다.
지난해 11월 화재로 인해 충청북도 음성군에 위치한 제1공장이 소실된 볼빅은 악재에도 불구하고 이를 전화위복의 계기로 삼아 노후화된 시설을 최첨단 장비로 리뉴얼한 제1공장을 재건했다.

음성 1·2공장에서 자체 생산으로 200만 더즌 생산이 가능하며, 외주 공장 200만 더즌까지 총 400만 더즌을 생산할 수 있게됨으로써, 기존 대비 연간 100만 더즌 더 생산이 가능하게 됐다. ⓒ 볼빅
화재 이후 1년 간 준비한 제1공장의 재건을 모두 마친 볼빅은 지난 2019년 제2공장을 포함해 전체 1만4876㎡ 부지에 최첨단 골프공 자체 생산 공장 건립을 완성함으로써 연간 400만 더즌을 생산할 수 있는 세계 최고 수준의 생산력을 보유하게 된 것이다.
제1공장은 '코어'를 생산하는 공장으로, 합성고무를 이용해 반발 탄성이 우수한 코어를 열성형 하는 공정이 제1공장의 핵심이자 역할로, 세계 최대 규모의 듀얼 코어 전문 생산 팩토리로 거듭났다.
볼빅 제품의 핵심인 듀얼 코어는 '이너 코어'를 딱딱하게 만들고, '아웃 코어'를 부드럽게 제작하는 기술로, 이번 재건으로 공정 과정을 개선해 3~4피스 프리미엄 볼의 품질이 한층 업그레이드 되면서 대량 공급이을 안정적으로 가능하게 했다.
또 열 성형 프레스를 경유와 LNG 가스를 사용하던 기존 열매체 보일러 방식에서 전기 전열 방식으로 전환해 친환경 스마트 팩토리의 기반도 갖췄을뿐 아니라 전기 전열 방식으로 탄소 저감이 가능하고 작업자들의 작업 환경도 개선됐다.
아울러 지난 2019년 자동화 설비로 준공된 제2공장은 제1공장에서 생산한 코어와 맨틀에 딤플 커버를 씌우고 △유광·무광 코팅 △인쇄 △포장 공정을 통한 완제품을 생산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특히 제1·2 공장의 최신 자동화를 완성해 생산 능률과 품질의 우수성을 극대화한 최첨단 공장으로 탈바꿈했을뿐 아니라 세계 최고 수준의 'HIGHT TECHOLOGY R&D 연구시설'을 보유했다.
볼빅은 R&D 연구소 인력을 골프 데이터 분석 전문 연구원과 엔지니어로 구성했고, 평택에 국내 골프용품사 최초로 400M 길이의 테스트장과 성능테스트 로봇 및 골프공의 궤적을 추적해 볼의 퍼포먼스를 데이터화 할 수 있는 분석 장비를 갖췄다.
볼빅 관계자는 "제1공장 재건과 함께 볼빅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K-아이콘 골프 브랜드'로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게 됐다"며 "국내를 넘어 해외에서도 우수한 성능과 품질로 인정받는 진정한 골프 브랜드로 나아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