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근무 중인 트레이더의 모습. ⓒ 연합뉴스
[프라임경제] 지난밤 뉴욕증시는 국채 금리의 하락과 함께 전날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위원들의 온건한 발언이 전일에 이어 재차 확인되는 등 상승세를 연장했다.
현지시간으로 10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 산업 평균 지수는 전장 대비 134.65p(0.40%) 오른 3만3739.30을 기록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22.58p(0.52%) 상승한 4358.24에 마감했다. 기술주 중심 나스닥 지수는 78.61p(0.58%) 뛴 1만3562.84에 장을 마쳤다.
이날 이스라엘 사태가 지속되고 있음에도 국제유가가 하루 만에 소폭이나마 하락 반전한 점도 시장에 안도감을 제공했다. 다만 지수는 장 초반 상승분을 일부 반납하고 마감했다. 이는 금주 목요일 소비자물가지표(CPI) 발표에 대한 경계감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는 분석이다.
라파엘 보스틱 연준 총재는 이날 연설을 통해 "기준금리를 더 이상 올릴 필요가 없다"고 자신의 생각을 밝히며 "현 기준금리 수준만으로도 충분히 2% 물가 목표 달성이 가능하다"고 평가했다.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준 총재 역시 "최근 장기금리 상승에 따른 금융환경 긴축이 연준의 금리 인상 필요성을 낮출 수 있다"고 언급했다. 다만 "아직 확신하기에는 이른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시장금리는 상기 발언 등에 호응하며 큰 폭 하락했다. 벤치마크 금리인 미국 국채 10년물은 전일비 15bp 하락한 4.65%로 마감했다. 정책금리 전망에 민감한 2년물은 11.3bp 내린 4.97%를 기록했다. 2년물이 5%선을 하회한 것은 지난달 14일 이후 처음이다.
달러 인덱스도 0.29% 내린 105.77pt에 거래를 마쳤다.
국제유가는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중동 지정학적 불안 증폭에 대한 반작용을 이익 확정 매도 매물이 늘며 하락했다.
뉴욕상업거래소(YMEX)에서 11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 거래일 보다 0.41달러(0.47%) 내린 배럴당 85.97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런던 국제선물거래소(ICE)의 북해산 브렌트유 11월물 가격은 전장보다 0.45달러(0.51%) 하락한 배럴당 87.70달러로 마감했다.
하마스 테러의 배경으로 거론되던 이란 정부가 개입을 부정하는 공식 발언을 내놓은 가운데, 설리번 미국 국가안보보좌관 역시 이란 개입 증거가 없다고 언급하면서 중동 지역의 확전 우려는 잠시나마 뒤로 물러서는 모습이었다.
유럽 증시는 일제히 상승세를 기록하며 마감했다.
프랑스 파리 증시 CAC40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01% 상승한 7162.43으로 거래를 마쳤으며,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 DAX30 지수는 1.95% 오른 1만5423.52로 마감했다.
영국 런던 증시의 FTSE 100 지수는 전장 대비 1.82% 뛴 7628.21에 거래를 마쳤다.
한편 범유럽 지수인 유로 Stoxx50 지수는 전장 대비 2.25% 상승한 4205.23에 거래를 종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