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감독원이 재무제표 공시에 적용되는 국제표준 전산 언어 시스템을 시범 가동한다. ⓒ 연합뉴스
[프라임경제] 금융감독원은 재무제표 공시에 적용되는 국제표준 전산 언어(XBRL) 시스템을 시범 가동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는 XBRL 재무공시 확대 시행(신XBRL)을 앞두고 기업 등이 XBRL 재무제표를 미리 작성해 사전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는 취지다.
XBRL은 기업 재무 정보의 생성·보고·분석 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매출, 영업이익 등의 계정과목에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코드를 부여한 전산 언어다.
금융감독 당국은 신XBRL을 차차 의무화할 예정이다. 주요 비상장사와 금융사는 오는 11월까지 마감인 올 3분기 보고서부터 재무공시 본문에 신XBRL을 적용해야 한다.
자산총액 2조원 이상인 비금융 상장사는 내년 3월 마감인 올해 연간 사업보고서의 본문과 주석 모두 신XBRL을 적용해야 한다.
기존엔 비금융 상장사에 대해선 재무제표 본문에 대해서만 신XBRL을 의무 적용했다. 금융업 상장법인 주석은 내년 중 시행을 검토한다.
금감원은 유관기관을 통해 시스템에 미리 참여할 기업들을 모집한 뒤 주요 이슈 점검 사항 등을 살펴볼 예정이다.
시범 가동용 XBRL 작성기는 이달 중순 기업들에 제공된다.
금감원은 "XBRL 재무제표를 처음 작성하는 제출인에게 다양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제출인의 재무공시 역량을 제고하는 한편, 이용자 의견을 수렴해 보다 안정적으로 시스템을 운영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참여 희망 기업은 소속 협회 등 유관기관을 통해 신청하면 된다.
금융사는 은행연합회, 금융투자협회 등 소속된 금융협회를 통해 신청하면 된다. 상장사는 상장사협의회, 코스닥협회 등에 해당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 소속 협회가 없는 비상장법인은 한국공인회계사 또는 한국XBRL본부를 통해 신청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