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1일 하나은행 딜링룸 모습. ⓒ 연합뉴스
[프라임경제] 국내 증시에서 외국인 투자자 비중이 1년3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는 거래 대금 감소가 아닌, 개인 투자자 거래의 급증세를 따라잡지 못한 결과라는 분석됐다.
13일 금융정보업체 연합인포맥스에 따르면 지난달 외국인의 코스피 시장 거래대금은 68조9000억원으로 집계됐다. 해당 규모는 지난달 코스피 전체 거래대금 298조원의 23.12%로, 지난해 4월 19.61%를 기록한 이후 최저 수준이다.
특히 올해 1월 외국인의 코스피 거래대금 비중 29.09% 대비로는 약 6%p 줄은 수치다.
이달 들어 11일까지 외국인 비중은 23.54%로 지난달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지난 1월 40조5000억원이었던 외국인의 코스피 거래대금은 지난 3월 52조원대로 올라섰고 이후로도 증가세를 보이며 지난달에는 70조원에 육박했다.
다만, 개인의 코스피 거래대금은 1월 63조9000억원에서 3월 105조7000억원으로 단숨에 40조원 가까이 늘었다. 지난달에는 178조3000억원까지 뛰어 올랐다.
1월 대비 지난달 외국인의 거래대금 증가율은 69.98%로, 개인 179.15%과 비교하면 현저히 낮은 수준이었다.
이에 지난달 코스피 거래대금에서 개인 비중은 59.84%를 기록, 올해 1월 45.83% 대비 약 15%p 상승했다.
해당 비중은 이달 들어서도 59.24%로 60%에 가까운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외국인 등 다른 투자자에 비해 개인의 거래 비중이 급증한 뒤에는 증시가 한꺼번에 무너질 수 있다고 나섰다.
다시 말해 최근 이차전지주를 비롯한 소수의 테마주에 개인 수급이 몰리며 전체 주가 상승을 이끌었던 만큼 이들 테마가 힘을 잃으면 증시도 상승 동력을 잃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서상영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경기 둔화 시기에 항상 나타나는 현상 중 하나가 테마 장세인데, 테마주 투자는 대부분 개인에 의해 이뤄진다"며 "개인은 주가가 고점일 때 뛰어들어 단기 매매에 치중하는 경향이 크기 때문에 테마 장세가 끝나면 종목 변동성이 확대되고 이는 지수의 하방 압력을 키우는 요인이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경기가 바닥을 확인하고 반등하는 시기에는 외국인의 투자 비중이 늘어난다"면서 "지금 당장은 주가가 상승할만한 요인이 제한돼 있어 개인 비중이 느는 동시에 외국인 비중은 작아지는 환경이 지속, 전반적인 증시 변동성이 확대되는 구간에 있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