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동산 시장 침체와 금리 인상 등으로 인해 대부업 연체율이 10%를 넘어선 것으로 밝혀졌다. ⓒ 연합뉴스
[프라임경제] 부동산 시장 침체와 금리 인상 등으로 인해 대부업 연체율이 10%를 넘어선 것으로 밝혀졌다.
2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오기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대부금융협회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대형 대부업체 25개사의 연체율은 11.5%에 달했다. 지난해 동월 6.7% 대비 4.8%p 급등했으며, 올해 1월 8.7% 보다는 2.8%p 상승한 수치다.
해당 수치는 신용대출과 주택담보대출, 기타 담보대출의 연체율 평균값이다.
부문별로 보면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12.9%로 전년 동월 3.6% 보다 9%p 넘게 치솟았다. 올해 1월 8.5%를 기록한 데 이어 2월 9.3%, 3월 10.7%, 4월 11.5% 등으로 상승세가 이어졌다.
대부업계가 저신용자의 신용대출 연체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담보대출 비중을 꾸준히 늘린 영향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금융감독원의 '2022년 하반기 대부업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담보대출 비중은 56.1%로 지난해 6월 53.8%, 2021년 말 52%에 비해 증가했다.
대출 규모가 커진 가운데 금리 상승으로 차주의 상환 부담이 커진 데다 지난해 부동산 경기가 악화하며 담보 가치가 하락해 연체율이 높아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대부업체가 취급하는 주택담보대출은 이미 주택담보대출을 받은 차주들에게 추가로 대출을 내주는 후순위 담보대출로 주택 가격 하락에 더 취약하다.
5월 신용대출 연체율은 10.9%로 1년 전 7.4%에 비해 3.5%p 상승했으며, 올해 1월 8.5%과 비교해도 2.4%p 뛰었다.
신용대출 연체율 상승은 리드코프 등 대형 대부업자의 신규대출이 중단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신규대출은 유입되지 못하고 기존 대출자의 이자 상환 부담이 커지면서 연체율이 상승하는 것이다.
NICE평가정보 기준 대부업체 상위 69개사가 올해 5월 취급한 신규대출액은 957억원으로 지난해 5월(4298억원)보다 3341억원 줄었다. 같은 기간 신규 이용자도 3만1274명에서 1만2737명으로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