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전기·도시요금 인상에 6월 물가 0.2%p 상승한다

한은, '전기·도시가스요금 인상의 물가 영향 및 주요국 비교' 보고서 발표

박기훈 기자 | pkh@newsprime.co.kr | 2023.06.04 13:33:32

지난달 전기·가스요금 인상으로 인해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0.2%p 정도 상승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사진은 서울 한 건물에 설치된 가스계량기 모습. ⓒ 연합뉴스


[프라임경제] 지난달 전기·가스요금 인상으로 인해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0.2%p 정도 상승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주요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우리나라 전기·도시가스 요금은 여전히 낮은 수준이란 분석도 내놨다.

한국은행은 4일 발간한 '금융·경제 이슈분석' 내 '전기·도시가스요금 인상의 물가 영향 및 주요국 비교' 보고서에서 이같은 분석을 내놓았다. 

앞서 정부는 지난 5월16일부터 전기요금과 도시가스요금을 각각 kWh(키로와트시)당 8원, MJ(메가줄)당 1.04원씩 인상했다.

한은이 소비자물가에서 전기요금과 도시가스요금이 차지하는 비중을 반영해 분석한 결과, 요금 인상에 따라 월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0.2%p가량, 연간 상승률은 0.1%p정도 높아질 것으로 추정됐다.

이와 관련해 "주택용 요금 인상에 따른 직접적 영향 외에도 산업용 전기요금과 영업용 도시가스요금도 인상되면서 원가 부담 증가를 통해 물가상승 압력이 커지는 간접적 영향도 나타날 수 있다"고 바라봤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동월 대비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3%까지 내려왔다. 한은의 물가안정 목표치(2%)보다는 여전히 높지만 지난해 10월(3.2%) 이후 19개월 만에 가장 낮은 상승폭이다. 

다만 전기·도시가스요금 인상 영향이 온전히 반영되는 건 6월부터인 데다 폭염 등 기상 여건 변화에 따른 농산물 가격 상승 가능성, 구제역 확산으로 인한 축산물 가격 상승세 등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상황이다.

한편, 지난 2년여 간 우리나라의 전기·도시가스요금 인상 속도는 과거에 비해 빨랐다는 분석이다. 국제원자재가격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영향 등으로 큰 폭으로 상승한 데 따른 것이다.

그럼에도 주요국과 비교했을 때 우리나라의 전기·도시가스요금이 여전히 낮은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국제원자재가격 상승에 따른 원가부담을 뒤늦게 반영하면서 최근 인상 속도도 주요국에 비해 더딘 편이라는 설명이다.

실제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의 전기요금은 네덜란드, 영국, 덴마크, 아일랜드, 스페인, 오스트리아, 스위스 등 주요 선진국의 절반에도 못미친다. 헝가리와 비슷한 수준이다.

한은은 "누적된 원가상승 부담을 감안할 때 추가 인상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면서도 "다만 국민부담과 국제원자재 가격 추이 등에 따른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라며 향후 전기·도시가스요금 전망에 대해 언급했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