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금융당국이 전세 사기 피해자 지원을 위한 대규모 태스크포스(TF)를 설치해 신속한 금융 지원에 나선다.
금융감독원(이하 금감원)은 은행·중소서민금융 담당 부원장 총괄하에 3개팀으로 구성된 전세사기 피해자 지원 태스크포스(TF)를 설치한다고 23일 밝혔다.
금감원은 이 TF를 통해 전세사기 피해자 지원을 위해 금융위 및 국토부 등 관계부처와 제반정보를 실시간 공유하는 등 긴밀히 공조하면서 피해자 지원을 속도감 있게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 20일부터 21일까지 경매 기일이 도래한 59건(인천 미추홀구)은 경매 유예를 유도해 유찰된 4건을 제외하고 모두 유예가 됐다. 유찰된 건은 모두 영세 부실채권(NPL) 사업자다.
금감원은 앞으로도 피해자의 주거 안정을 위해 피해 주택의 경매가 최대한 유예될 수 있도록 모든 금융권과 함께 적극적으로 노력할 방침이다.
앞서 지난 21일엔 금감원 여의도 본원 및 인천지원에 개소한 종합금융지원센터에서 경매유예 및 금융지원 등 38건을 상담했다.
한편 지난 21일 금감원 여의도 본원 및 인천지원에 개소한 '종합금융지원센터'에서 경매유예 및 금융지원 등 38건의 상담이 진행됐다고 금감원은 밝혔다.
금감원 관계자는 "은행, 카드사, 상호금융 및 새마을금고 등 금융권에서도 상생금융 차원에서 피해자 지원방안을 발표하고 있다"며 "금융권의 자율적 노력들이 정부 및 정책금융기관의 지원 노력을 보완해 피해자에게 보다 많은 지원이 이뤄질 것"이라고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