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윤석열 대통령은 19일 오전 국립4.19민주묘지에서 개최된 제63회 4.19혁명기념식에 참석해 "4.19혁명 열사의 뒤를 따라 어떠한 희생을 치르더라도 자유민주주의를 확고히 지켜내겠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4.19혁명 정신은 대한민국의 헌법정신이 됐다"며 "'어느 한 사람의 자유도 소홀히 취급돼서는 안된다'는 4.19정신이 국정 운영뿐 아니라 국민의 삶에도 깊이 스며들게 하겠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의 이번 4.19혁명 기념식의 참석은 10주기 기념식에만 대통령이 참석하던 관례를 깨고 지난 2007년 이후 16년만에 참석한 것이다. ⓒ 연합뉴스
이어 윤 대통령은 4.19혁명이 일어나게 된 계기를 언급하며 "민주주의는 국민의 자유를 지키기 위한 정치적 의사결정 시스템"이라며 "자유를 지키기 위한 민주주의가 바로 자유민주주의"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독재와 전체주의 체제가 민주주의라는 이름을 쓴다고 해도 이것은 가짜민주주의"라며 "우리가 피와 땀으로 지켜온 민주주의는 늘 위기와 도전을 받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은 "독재와 폭력과 돈에 의한 매수로 도전을 받을 수도 있지만 지금 세계는 허위 선동, 가짜뉴스, 협박, 폭력 선동, 이런 것들이 진실과 자유로운 여론 형성에 기반해야 하는 민주적 의사결정 시스템을 왜곡하고 위협하고 있다"며 "민주주의에 대한 위협은 바로 우리의 자유에 대한 위협이다. 민주주의의 위기는 바로 우리 자유의 위기"라고 우려했다.
윤 대통령은 "거짓 선동, 날조, 이런 것들로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세력들은 독재와 전체주의 편을 들면서도 겉으로는 민주주의 운동가, 인권 운동가 행세를 하는 경우를 세계 곳곳에서 저희는 많이 봐 왔다"며 "이러한 거짓과 위장에 절대 속아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윤 대통령은 "4·19혁명 열사가 피로써 지켜낸 자유와 민주주의가 사기꾼에 농락당해서는 절대 안 된다"며 "우리는 혁명 열사의 뒤를 따라 어떠한 희생을 치르더라도 자유민주주의를 확고히 지켜내겠다는 결의를 가지고 함께 모인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기념식에 앞서 국립4‧19국립묘지에 안장돼 있는 507위의 유영(遺影)이 봉안된 유영봉안소를 찾아 우리나라 대통령 최초로 참배했다. ⓒ 연합뉴스
한편 정부는 이번에 이례적으로 4‧19혁명이 전개된 지역의 학교 기록을 포함해 현지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 공적이 확인된 31분에게 건국포장을 서훈했다. 또 윤 대통령은 오늘 기념식에서 이 중 5명에게 직접 건국포장증을 친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