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윤석열 대통령은 29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제15차 비상경제민생회의를 주재하고, "위기 상황 속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민생 안정"이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내수 활성화를 위해 △50여개 메가이벤트 개최 △할인행사 △정부지원 등을 추진하고, 내국인 관광촉진 방안, 각종 소상공인·서민경제 활성화 방안도 함께 시행키로 했다. ⓒ 연합뉴스
윤 대통령은 이날 모두발언에서 "그간 정부의 민생 안정, 수출 확대 노력에 더해 이제 내수 활성화를 통한 새로운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방향을 고민해야 된다"며 "다양한 문화, 관광 상품과 골목상권, 지역시장의 생산품, 특산품에 대한 소비와 판매가 원활히 연계되도록 해서 내수 진작을 통한 경제 활성화에 매진해야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진행된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는 △관광 △골목상권 △소상공인 등 코로나 이후 어려움을 겪고 있는 취약부문을 중심으로 내수 활력을 높이고 서민경제 전반에 온기를 불어넣는 '내수활성화 대책'을 발표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부터 대외 경제 여건이 악화되면서 우리 경제에도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다"며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교란과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고물가가 지속되고, 또 인플레이션에 대응한 고금리 정책으로 세계 경기의 둔화와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국제적으로 확대돼 왔다"고 지적했다.
이어 윤 대통령은 "우리의 주요 교역 대상국의 경기 둔화로 인해 우리 경제의 핵심 동력인 수출 부진이 야기됐다"며 "코로나 시기에 크게 증가했던 반도체와 ICT 분야의 수출과 생산이 글로벌 경기 둔화의 영향으로 코로나 극복 과정에서 종전에 비해 많이 위축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이런 위기 상황 속에서 무엇보다 중요하는 것은 민생 안정이다"며 "그동안 정부는 장바구니, 기본 생계비와 관련된 물가를 잡기 위해 노력해 왔고,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의 어려움을 덜어드리고자 다양한 금융, 세제 지원 대책도 강구해 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은 "우리 경제는 세계에서 대외의존도가 가장 높은 구조인 만큼 복합위기를 근본적으로 타개하는 방법은 세계 시장에 공격적으로 뛰어드는 것이고, 그것이 바로 수출과 수주의 확대였다"며 "저부터 대한민국 1호 영업사원의 자세로 뛰고 있고, 모든 외교의 중심을 경제에 시장 개척에 두고 있다"고 했다.

'내수활성화'는 국내 관광을 활성화해 내수 활력과 경상수지 개선을 도모하고, 소상공인·서민 생계부담을 경감하기 위한 조치로 이해된다. ⓒ 연합뉴스
아울러 윤 대통령은 전 세계적인 방역 조치 완화와 한일관계 개선 등으로 음식·숙박 분야의 소비와 관광을 팬데믹 이전으로 되돌릴 여건이 만들어지고 있다고 판단했다.
이에 윤 대통령은 "많은 외국 관광객의 방한에 대비해 비자 제도 등을 보다 편리하게 개선하고, 항공편도 조속히 늘려나가야 할 것"이라며 "다양한 문화, 관광을 잘 연계하는 한편 전통시장을 하나의 문화 상품으로 발전시켜 사람들이 붐빌 수 있도록 해야 된다"고 말했다.
이어 윤 대통령은 "이러한 내수 활성화를 위해서는중앙정부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와 민간이 함께 뛰어야 할 것"이라며 "저는 첫째도, 둘째도, 셋째도 '민생'이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