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객장에서 트레이더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 연합뉴스
[프라임경제] 지난밤 뉴욕 증시는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긴축 사이클 종료 기대감이 형성되며 상승세를 나타냈다.
23일(현지시각)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 산업 평균 지수는 전장 대비 75.14p(0.23%) 오른 3만2105.25를 기록했다.
대형주 중심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11.75p(0.30%) 상승한 3948.72에 마감했으며, 기술주 중심 나스닥 지수는 117.44p(1.01%) 뛴 1만1787.40에 장을 마쳤다.
이날 시장은 전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를 소화하며 향후 연준의 금리인상 경로, 다른 주요국들의 통화정책 결정, 국채 금리 움직임 등을 주시했다
서정훈 삼성증권 연구원은 "점도표의 최종금리 예상치가 5.1%로 지난해 12월과 같은 수준을 유지한 것에 대해 앞으로 연내 1회의 25bp 금리 인상만이 남았다는 해석이 부각됐다"며 "금리선물 시장은 다음 FOMC에서 금리 동결 확률을 60%대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재닛 옐런 장관이 하원에서 전날과 달리 필요 시 추가 조치를 취할 준비가 돼있다는 발언 역시 긍정적인 영향을 줬다"며 "유럽 중앙은행들의 금리 인상 결정 또한 크레디트 스위스발 리스크 완화로 받아들여졌다. 영란은행과 스위스 국립은행은 이날 기준금리를 각각 25bp, 50bp 인상했다"고 덧붙였다.
또한 "미국 노동시장의 견조함은 지속됐다"며 "노동부가 발표한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19만1000건으로, 예상치인 19만7000건을 하회했다. 전주 대비로는 1000건 하락했다"고 첨언했다.
업종별로는 커뮤니케이션이 1.83%, IT가 1.6% 상승했다. 이를 제외한 나머지 업종들이 하락한 가운데 에너지가 1.36% 떨어지며 가장 부진했다. 뒤를 이어 유틸리티, 금융, 부동산이 각각 1.01%, 0.73%, 0.62% 하락하며 내림세가 두드러졌다.
국제유가는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와 차익 실현 매물 출회에 나흘 만에 하락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5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장보다 0.94달러(-1.33%) 내린 배럴당 69.96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런던 ICE 선물거래소의 5월물 브렌트유는 전날보다 0.78달러(-1.0%) 떨어진 배럴당 75.91달러로 마감했다.
유럽 주요국 증시는 2글로벌 중앙은행들의 금리인상과 경기침체 우려 등 영향으로 혼조세를 나타냈다.
파리 증시 CAC40 지수는 전일 대비 0.11% 상승한 7139.25에,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 DAX30 지수는 0.04% 내린 1만5210.39에 거래됐다. 영국 런던 FTSE 100 지수는 0.809% 빠진 7499.60에 거래를 마감했다.
한편, 범유럽 지수인 유로 Stoxx50 지수는 전장 대비 0.27% 오른 4207.14에 거래를 종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