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윤석열 대통령은 "북의 어떠한 도발에도 확실하게 보복하는 것이야말로 강력한 억제 수단이다"고 강조했다.
김은혜 대통령실 홍보수석은 28일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룸에서 윤 대통령이 이날 예정된 오찬 일정을 취소하고 주재한 긴급회의의 발언을 전했다.

김은혜 대통령실 홍보수석은 28일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룸에서 윤 대통령이 주재한 긴급회의의 내용을 전했다. ⓒ 연합뉴스
안보실과 비서실 참모가 참석한 오후 긴급회의에서 윤 대통령은 "북한의 어떠한 도발에도 확실하게 응징·보복하라. 그것이 강력한 (전쟁)억제 수단이다"며 "북한의 핵을 두려워하거나 주저하지 말라"고 강조했다.
이에 윤 대통령은 오는 28일 드론과 미사일을 포함한 비행물체의 감시·정찰 요격 시스템 및 공격용 미사일 등의 종합 상황을 점검하고 보고 받기 위해 오는 29일 국방과학연구소를 방문하기로 했다.
한편 '북한에서 유사한 루트로 무인기를 보냈을 경우 요격 가능하냐'는 질문에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중대형 드론은 레이더로 포착이 가능하고 미사일로도 요격이 가능하지만 소형 드론일 경우에 정찰용이지만 일반 레이더로 포착하기 힘들고 요격도 현 체제에서서는 많이 어려울뿐더러 미사일로도 격추가 어려웠다"며 "그래서 전자파와 레이더빔으로 가능했던 미래 전력 확충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어 이 관계자는 "때문에 윤 대통령이 이런 무기운용 체계 전반을 점검하고, 2017년부터 드론에 대한 대응노력 전력 구축이 제대로 되지 않았기에 무기 운영체제 점검과 함께 최근 근접 작전 드론 및 해양 정찰 드론 등 드론 대응시스템 확보 등 예산이 미흡한 점을 강조한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