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비엘, BLS-H01 동물실험서 항암 효능 시너지 입증 발표

스페인 바르셀로나 '2022 EORTC-NCI-AACR' 심포지움서 연구성과 선봬

박기훈 기자 | pkh@newsprime.co.kr | 2022.11.07 13:19:38

비엘이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진행된 '2022 EORTC-NCI-AACR' 심포지움에서 'BLS-H01'의 면역항암제 효능개선 연구성과를 발표했다. ⓒ 비엘


[프라임경제] 신약개발 전문 기업 비엘(142760)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진행된 '2022 EORTC-NCI-AACR' 심포지움에서 'BLS-H01(폴리감마글루탐산, γ-PGA)'의 면역항암제 효능개선 연구성과를 발표했다고 7일 밝혔다.

'EORTC-NCI-AACR 심포지엄'은 항암 연구의 최신 지견 및 주요 제약사의 임상 성과가 발표되는 국제 학회로 유럽암학회, 미국암연구소, 미국암학회가 공동 주관해 유럽과 미국에서 매년 개최된다.

비엘의 BLS-H01는 소장 내 면역수용체에 작용해 NK세포, 수지상세포, T세포는 물론 인터페론의 분비를 촉진시켜 암에 대한 면역반응을 강화시키는 약리기전을 가지고 있다. 

이번 심포지움에서는 대장암, 흑색종 등의 항암동물모델에서 PD-1 면역항암제와의 병용투여를 통해 BLS-H01에 의한 면역세포 활성화와 이에 따른 항암 시너지효과를 확보한 결과를 발표했다.

PD-1 면역항암제는 금년 상반기에만 13조원의 매출을 올린 머크의 키트루다(펨브롤리주맙)가대표 약물이다. 글로벌 의약품 시장조사 기관인 이밸류에이트파마(EvaluePharma)는 2024년PD-1 면역항암제의시장규모를 546억달러(약 77조5000억원)으로 예측할 정도로 뛰어난 항암효과를 기반으로 고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PD-1 면역항암제는 효과를 보이는 반응환자 비율이 낮아 제한적인 환자들에게만 사용되는 한계가 있다. 최근에는 이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반응률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시너지 효과가 기대되는 다양한 약물들과의 병용투여 임상시험이 광범위하게 진행되고 있다.

BLS-H01의 핵심 성분인 감마PGA(γ-PGA)는 식물 유래 성분으로 면역조절 수용체인 TLR4에 작용해 면역세포를 활성화한다. 이를 통해 암세포, 감염세포 등 정상이 아닌 세포를 신속히 제거하는 기전을 가지고 있다. TLR4는 바이러스, 세균 등 외부침입 물질에 대한 면역반응의 필수 요소지만 염증반응의 주요인자로 양면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비엘에서는 다년간의 연구를 통해 BLS-H01이 TLR4에 작용해 면역반응의 활성화를 유도하지만 염증 인자에는 작용하지 않는 특이적 약리기전을 규명했다. 회사 측은 이를 토대로 암세포를 인식, 공격하는 면역세포 및 인터페론의 활성도를 증가시키면서도 암세포가 좋아하는 염증성 환경을 차단하는 신개념 항암치료제로 개발을 진행 중에 있다.

또한 이러한 약리기전은 암 뿐만 아니라 바이러스, 세균에 의한 세포 감염에도 적용할 수 있어 적응증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 비엘은 현재 BLS-H01로 SARS-CoV-2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폐렴이 수반되는 중등증 환자를 대상으로 코로나19 치료제 2상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비엘 관계자는 "BLS-H01은 면역세포 활성화와 염증을 수반하는 종양미세환경을 동시에 조절해 자체적인 항암효능은 물론, 면역항암제의 효능을 배가시켜주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많은 제약사들이 TLR4를 표적으로 한 약물 개발을 시도했지만 염증반응 등의 부작용으로 인해 성공하지 못했다"며 "BLS-H01은 이 같은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약물로 기대가 높으며,연구성과를 토대로 면역항암제 단독으로는 어려운 난치성 고형암에 대한 임상 진입이 조만간 현실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