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대통령실은 2일(현지시간) 미국 하와이에서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개최된 한미일 안보실장 회의에 대해 "3국 간 공조를 더욱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대통령실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한미일 안보실장 회의에서 3국 안보 실장들은 북핵문제, 첨단기술 및 공급망 협력, 주요 지역 및 국제적 문제에 대해 폭넓은 협의를 가졌다"며 이 같이 말했다.

김성한 안보실장이 한미일 안보실장회의를 떠나기 전 공항에서 취재진들과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다. ⓒ 연합뉴스
김성한 국가안보실장은 제이크 설리반 미국 국가안보보좌관 및 아키바 다케오 일본 국가안전보장국장과 함께 지난 1일(현지시간) 미국 하와이에서 열린 한미일 안보실장 회의를 개최했다.
또 김 실장은 한미일 안보실장 회의에 앞서 지난 8월31일(현지시간) 한·미, 한·일 양자 안보실장 회담을 각각 가졌다.
먼저 김 실장은 한미 안보실장 회담에서 북한 문제와 관련해 우리 정부의 담대한 구상에 대해 설명하고, 이를 실행시켜 나가기 위한 한미 간 협력 방안에 관해 협의했다.
또 최근 미국에서 제정된 '인플레이션감축법' 및 '반도체과학법'과 관련해 우리 업계의 우려를 전달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미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차원의 적극적인 협조와 관심을 당부했다.
이어 한일 안보실장 회의에서는 북한 문제를 포함한 지역·국제 안보 현안에 대해 양측의 의견 교환이 있었다.
김 실장은 우리 정부의 담대한 구상에 관해 설명하고, 일본측의 협조를 당부하는 한편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에 대한 양국간 공조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와 함께 양측은 한일관계 개선을 위한 방안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했다.
대통령실은 "이번 한미일 안보실장 협의를 통해 3국은 현 한반도와 국제정세에 관한 평가를 공유하고, 앞으로의 공조 방안에 관해 심도 있는 논의를 가질 수 있었다"며 "앞으로 서로 수시로 소통하고 협력할 수 있는 긴밀한 협조체제를 더욱 강화한 것으로 평가된다"고 밝혔다.
한편 김 실장과 대표단은 지난달 31일 저녁 존 아퀼리노 미국 인태사령관이 주최하는 한미일 3국 대표단 환영 리셉션에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