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컴투버스, 선구자적 개발 로드맵 공개

"콘텐츠,서비스 제공하는 열린 생태계 인프라스트럭처"

김경태 기자 | kkt@newsprime.co.kr | 2022.08.25 15:17:56
[프라임경제] 컴투스(078340, 대표 송재준·이주환)의 메타버스 전문 기업 컴투버스(대표 이경일)가 25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미디어데이를 개최하고, 미래의 글로벌 메타버스 산업을 선도하기 위한 사업 및 개발 로드맵을 공개했다. 

컴투스는 지난해 메타버스 사업에 대한 구상을 구체화하고, 지난해 말 프로토타입 시연 영상을 공개한 데 이어 지난 4월에는 계열사 위지윅스튜디오 및 엔피아와 함께 조인트 벤처인 컴투버스를 설립하고 본격적인 올인원 메타버스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단순 플랫폼 아닌 웹3 가치 기반 오픈 메타버스 인프라럭처

먼저 행사 시작과 함께 송재준 컴투스 대표는 환영사를 통해 컴투스 그룹의 주요 신사업 중 하나인 컴투버스에 대한 강한 자신감을 나타냇다. 

이경일 컴투버스 대표는 "메타버스 영역은 아직까지 화이트 스페이스다"고 말했다. = 김경태 기자

송 대표는 "인터넷으로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오픈 월드의 가상 세계로 옮겨온 것이 바로 메타버스이다"며 "이 같은 시도를 하는 것은 컴투버스가 세계 최초"라고 말했다. 

이어 송 대표는 "3차원 가상 공간에서 수많은 사람들을 동시 수용할 수 있는 기술적 역량,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밸류체인, 탈중앙화와 성과 분배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기술적 생태계의 3박자를 모두 갖춘 컴투버스야말로 글로벌 메타버스 시대를 선도할 유일무이한 적임자다"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아울러 메타버스에서는 기존 2D 형태로 제공되는 정보 및 콘텐츠, 서비스가 4차원의 시공간을 통해 배열되고, 이용자들은 아바타를 통해 이를 획득할 수 있다.  

컴투버스는 이 개념을 '메타 브라우징'이라고 지칭하고, 컴투버스를 메타버스라는 인터넷 다음 시대의 모습을 현실로 가져오는 선구자로 만들어간다는 계획이다. 

특히 일부 주체가 메타버스 사회를 이끌어 가는 형태를 넘어 모든 참여자들이 함께 만들고 완성시키는 오픈 생태계로 구축하는 것이 중점이다. 

이경일 컴투버스 대표는 "기존 공급사가 모든 권한을 갖고 사업에 대한 수익 분배부터 독점 권한까지 가져가는 구조는 웹3 기반 사회에서의 생태계 발전을 저해하는 형태가 될 것"이라며 "컴투버스는 참여자들이 자유롭게 공간을 구축하고, 콘텐츠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열린 생태계 형태의 인프라스트럭처다"고 설명했다. 

◆"현실 닮았지만 현실 초월하는 공간 될 터"

컴투버스에는 '아일랜드'라고 하는 공간 개념이 적용되며, 총 9개의 '아일랜드'가 모여 월드가 완성되고, '아일랜드'에는 서비스 및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건물과 메타버스 △오피스 △도로 △교통 △자연 환경 등의 입지가 구축되고 커뮤니티와 일반 유저들의 공간으로 확장될 예정이다. 

컴투버스는 모든 이용자들에게 개방된 퍼블릭 영역과 분양 받은 대지와 건물 공간인 프라이빗 영역으로 나눠 설계되고 있다. 

컴투버스는 오픈 메타버스를 위한 개발자 생태계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 김경태 기자

특히 컴투버스가 제공하는 인프라를 통해 누구나 △경제 △사회 △문화 활동을 창조해낙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홍승준 컴투버스 개발본부장은 "컴투버스의 공간은 셀, 블록, 아일랜드의 단위로 구성된다"며 "100개의 셀이 모여 하나의 블록이 되고 다시 900개의 블록이 모여 하나의 아일랜드를 이루게 되는데, 아일랜드 하나의 크기는 현실 속 축구장 약 3200개의 규모다"고 설명했다. 

이어 홍 본부장은 "대규모 사용자의 접속을 위해 스페이스 스케일링이라고 하는 새로운 서버 프레임웍 기술로 이를 지원할 예정이다"며 "현재 특허 출원도 준비중이다"고 전했다. 

또 홍 본부장은 "컴투버스는 유저들에 의해 만들어지고 변화되는 공간"이라며 "이모든 것이 가능하도록 자유로운 콘텐츠 창작툴인 UGC 스튜디오를 제공하고, 개발자 생태계 확장을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신규 파트너 기업 KT 최초 공개

컴투버스는 현재 여러 산업 분야의 유력 기업들과 협업을 추진하며, 강력한 파트너십 생태계 구축에 나서고 있다. 

이번 미디어데이에서는 기존 공개된 △SK네트웍스 △하나금융그룹 △교원그룹 △교보문고 △한미헬스케어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 △마이뮤직테이스트 △영실업 △닥터나우 △푸드테크 외 신규 파트너사인 'KT'의 합류를 최초로 공개했다. 

컴투버스는 이번 KT의 합류로 ICT 선도 기업인 KT의 기존 사업을 메타버스와 연계한 다양한 협력 비즈니스를 추진해나가는 전략이다. 

25일 진행된 컴투버스 미디어데이에서는 환영사를 전한 송재준 컴투스 대표이사를 비롯해 이경일 컴투버스 대표이사와 홍승준 개발본부장이 발표자로 나서 컴투버스가 그리는 메타버스의 미래와 현재 개발 및 투자 현황, 향후 계획 등을 자세히 설명했다. = 김경태 기자

또 컴투버스는 생태계 참여 기업들과 함께 내년 3분기까지 B2C 서비스를 개발하고, 일반 사용자들을 위한 상용화 서비스를 오는 2024년 1분기에 실시할 예정이다. 

이경일 컴투버스 대표는 "메타버스라는 영역은 아직까지 화이트 스페이스라고 할 수 있다"며 "과거 대한민국이 선진국의 사업을 벤치마킹하고 발전했다면 이제 우리는 많은 참여자들과 함께 메타버스라는 새로운 사업 영역을 선도적으로 이끌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미디어데이 마지막으로 국내 도시건설 분야 최고 전문가로 알려진 유현준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 교수가 영상을 통해 컴투버스의 COO로 합류한다고 밝혔다. 

홍 COO는 "내가 가진 공간과 도시에 대한 생각과 경험을 컴투버스와 함께 나눌 수 있게 돼 기쁘다"며 "컴투버스와 함께 현실의 제약이 없는 이상적인 도시를 만들어보고 싶다"고 영상 메시지를 통해 전했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