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이하 민주노총)이 20일 서울을 비롯한 전국 14개 지역에서 대규모 총파업과 집회를 예정대로 개최했다.
이에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방역 상황이 비교적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고, 온 국민들이 한 마음으로 11월 일상 회복을 준비하는 중대한 시점을 감안해 민주노총이 대승적 차원에서 최대한 파업을 자제해 주길 바랬지만 안타까운 결과가 됐다"고 말했다.
이어 위드 코로나가 임박한 상황에서 철저한 방역지침 준수 하에 집회를 연는 것에 대해 집회를 전면 금지하는 것이 과도하다는 인권단체의 목소리가 높은 것에 대해 이 관계자는 "집회의 자유는 당연히 보장돼야 하지만 전대미문의 코로나19로 인해 전 국민이 방역에 동참하는 상황이고, 단계적 일상 회복의 중대 기로에 있는 점을 감안해 자제를 요청한 것"이라고 답했다.
한편 민주노총은 △5인 미만 사업장 차별 철폐·비정규직 철폐 △모든 노동자의 노조활동 권리 쟁취 △돌봄·의료·교육·주택·교통 공공성 쟁취 △산업 전환기 일자리 국가책임제 쟁취 등을 내세우며 총파업에 돌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