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8일 서울 용산구 노들섬에서 열린 '2050 탄소중립위원회 제2차 전체회의'에 참석해 탄소중립을 향한 강력한 의지를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회의에서 의결한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안)과 2030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상향(안)과 관련해 "역사적 발표를 했다"며 "탄소중립 선언 1년 만에 시나리오, NDC 상향목표를 결정한 건데 과제의 어려움을 생각하면 짧은 기간 동안 속도 있게 목표를 만들어냈다"고 평가했다.
이어 문 대통령은 "이제는 오늘 결정한 목표·시나리오를 제대로 실천하고 이행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실천과 이행에 힘을 모아 달라"고 당부했다.

2050 탄소중립위원회는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을 위해 국가의 주요 정책과 계획을 심의하고 총괄하는 민·관 거버넌스 기구로 지난 5월29일 대통령 직속 위원회로 출범했다. ⓒ 청와대
문 대통령은 "목표를 놓고 여전히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분들, 또는 과중한 목표라고 생각하는 분들도 있다"며 "기후위기와 온실가스를 줄여 나가야 하는 급박성을 생각한다면 우리가 좀 더 의욕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의욕만 갖고 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우리가 실천할 수 있는 계획을 세워야 한다는 그 두가지 생각은 다를 바 없다"고 말했다.
또 문 대통령은 "오늘 만들어진 목표나 시나리오를 제대로 실천하고 이행해 나간다면 앞으로 NDC 목표를 보다 상향할 수 있고, 탄소중립의 기간도 보다 단축해 나갈 수 있다"며 탄소중립위원회의 지속적인 역할을 당부했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또 탄소중립과 관련된 새로운 기술들, 예를 들어 수소환원제철, 탄소포집 기술 등이 얼마나 빠른 시일 내에 실험실을 벗어나 상용화 할 수 있느냐가 이날 결정한 목표의 성패가 될 수 있다면서 정부와 기업, 과학기술계가 관련 기술 발전에 각별한 노력을 기울여 줄 것을 주문했다.
그밖에 문 대통령은 한국의 갯벌, 논 등이 탄소흡수 능력을 갖고 있지만 그 흡수량이 정확하게 가늠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것을 언급하며 이를 계량화하는데 각별한 노력을 기울여 줄 것을 강조했다.
이 부분들이 계량화를 통해 제대로 통계에 반영되면 우리의 목표를 높이거나 다른 분야 감축분의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또 문 대통령은 해외 감축분과 관련해 개도국 기술지원 등을 통해 전 세계적인 탄소중립에 기여하는 것인 만큼 매우 중요한 역할이라고 설명하고, 우리나라는 개도국에서 선진국으로 성장한 경험이 있기에 개도국과 선진국 간 가교 역할을 하기에 적절한 국가라는 점에서 우리가 꼭 해야 할 책무라는 사명감을 가져 달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탄소중립과 2030 NDC 달성을 위해 먼저 △청정에너지 중심으로 국가 에너지시스템을 획기적으로 개선해야 하고 △산업구조를 저탄소 산업생태계로 전환해야 하며 △일상생활 속에서 에너지 다소비 행태·문화를 개선하려는 범국민적 실천 노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 청와대
문 대통령은 "선진국들은 1990년대를 정점으로 꾸준히 온실가스 감축을 해왔던 데 반해 우리나라는 2018년을 정점으로 훨씬 짦은 기간에 가파르게 감축해야 하는 상황인 만큼 산업계와 노동계의 반발을 이해한다"며 "의욕적인 온실가스 감축목표에 마음을 모으고 함께 노력하자"고 말했다.
한편 이날 회의에서 김부겸 국무총리는 "우리가 결정한 부분이 사회 전체를 구조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지만 피할 수 없는 길, 꼭 가야만 하는 길, 그리고 더 늦기 전에 해야만 하는 길이라는 것을 대한민국 국민들과 우리 공동체 구성원들이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김 총리는 "위기로만 생각할 것이 아니라 오히려 산업국가 에너지 구조를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혁신의 기회로 삼을 수 있을 것"이라며 "탄소중립 과정에서 수소경제 등 유망산업을 육성하고 순환경제 활성화 등을 통해서 미래 신성장 동력을 확보해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