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인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18일 경기도 수원시 경기도청에서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경기도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 연합뉴스.
[프라임경제]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18일 경기도 대상 국정감사에서 여야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의 대장동 개발 의혹을 두고 정면충돌했다.
대장동 의혹을 두고 국민의힘은 이 후보가 측근들과 함께 부정거래를 한 '이재명 게이트'라고 규정했고, 민주당과 이 후보는 '국민의힘 게이트'라고 맞섰다.
특히 이 후보는 대장동 의혹의 설계자라는 야권 공세에 "설계자는 제가 맞다"면서도 "마치 민간 사업자 내부 이익을 나누는 설계를 말하는 것처럼 호도하고 싶겠지만, 분명한 것은 성남시의 공공환수액 내용과 방법, 절차, 보장책 등을 설계했다는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저보고 이익을 몰빵해 줬다고 표현하는데, 전혀 사실이 아니다. 몰빵해서 이익을 주자고 한 건 국민의힘이었다. 국민의힘 시의회가 4년동안 민간개발하라고 괴롭히더라. 여러분이 소속한 과거의 국힘 말이다"라고 폭로했다.
이 후보는 대장동 사업과 관련해 주어진 조건에서 최대한 공익환수를 한 것이라는 기존 주장을 재차 강조했다.
그는 사업 설계 내용에 대해 "땅값 오르내림과 관계 없이 로비나 먹튀 못하게 확정이익으로 하라, 건설사간 경쟁 붙이고 대형 금융기관을 참여시켜라, 부정이익 나오면 환수하라고 지시한 게 내가 한 일이다"라고 했다.
그러면서 "땅값이 오르면 업자의 이익이 될 수 있지만 예측 못 할 하락이 생기면 업자들은 손해를 보고 저희는 확정이익을 갖는다"며 "행정은 투기로 하면 안 된다"고 설명했다.
이 후보가 밝힌 환수액은 약 5800억원이다. 당시 개발 예정 이익은 3300억원이었으나 그 후 약 9000억원의 이익으로 불자 최대한 환수했다고 이 후보는 부연했다.
이 후보는 "지금 개발이익이 상승했지만 (민간이 챙긴 몫은) 4000억원 정도고, 성남시가 회수한 것은 현재 가치로 따지면 7000억원 가까이 될 것"이라며 "그런 것을 계산하지 않더라도 성남시가 회수한 것은 5800억원 가까이가 된다. 6대4 정도로 성남시 몫이 많다"고 주장했다.
이어 "국민들께서 보시기에는 미흡하겠지만 사실 저로서는 주어진 조건과 환경 속에서 최대한 환수한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