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정부가 신재생에너지 전환을 위해 해상풍력 확대를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최대 해상풍력 발전소 이용률이 22%에 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발전을 위해선 풍속이 초속 7m 이상이어야 하지만, 바람 세기가 평균을 밑돌면서 효율이 떨어지고 있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한무경 국민의힘 의원이 한국전력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서남해 해상풍력 실증단지의 총 발전량은 114.3GWh로 이용률 21.7%에 그쳤다.
해상풍력 발전에 필요한 적정한 수준의 바람이 불지 않은 영향으로, 해당 발전소는 1년 중 평균 풍속이 초속 4m 이하인 날이 98일에 달했다. 평균 이용률이 10% 미만인 날도 1년 중 3분의 1이 넘는 130일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남해 발전소 뿐만이 아니다. 당초 우리나라 지형은 해상풍력 발전에 불리한 여건이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의 국가바람지도를 보면 우리나라는 전 국토의 76%가 연평균 풍속이 초속 6.4m 이하를 보인다.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정책 일환으로 오는 2034년까지 20GW 규모의 해상풍력 단지를 조성해 세계 5위의 해상풍력 강국으로 성장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다만 아직 해상풍력 효율이 기대 이하를 보이고 있어 신재생에너지 비중 확대 이전에 원자력 등 기존 발전원 축소에도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해상풍력보다 발전 단가가 싼 원자력 발전은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제 역할을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해상풍력의 발전원가는 kWh당 약 275원으로 원자력(54원)의 5배가 넘는다.
한 의원은 "최근 영국 등 유럽에서 천연가스‧석탄‧석유 가격이 치솟고 전력난에 전기료가 치솟는 이유는 화석연료를 줄이고 풍력 등 재생에너지를 늘렸는데 북해의 풍속이 떨어진 탓"이라며 "풍력발전에 유리한 조건도 아닌 국내에서 막대한 비용을 투입해 주민 반대가 극심한 풍력발전을 막무가내로 건설하는 일은 에너지 안보와 국민 부담을 고려해 재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