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주요 건설자재인 철근 가격이 또 다시 치솟자 정부가 건설사 중심으로 사재기 단속에 나섰다.
5일 산업통상자원부·기획재정부·국토교통부·중소벤처기업부·공정거래위원회·조달청·관세청 등 7개 부처는 2차 철강 및 원자재 수급 대응을 위한 대책 회의를 열고 철근 공급과 가격 안정화 방안 등을 논의했다.
최근 철근 가격은 톤(t)당 120만원대 수준이다. 장마와 여름휴가로 인한 비수기가 끝나며 건설 현장 수요가 늘었고, 일부에서 사재기 현상도 발생하는 바람에 가격이 다시 뛰는 모양새다.
정부는 올해 하반기 철근 공급이 안정적일 것으로 전망하면서도 갑작스러운 수요 증가나 특정 기간 수요 쏠림, 일시적인 철근공장 가동 중단 등 예상치 못한 문제가 발생하면 가격이 급등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돌발 변수를 대비해 정부는 다음 주부터 시장이 안정될 때까지 합동점검단을 재가동해 사재기 등을 점검하고, 위법행위가 발견되면 강력히 조치할 계획이다.
부처별로 역할을 나눠 단계별 모니터링도 강화하기로 했다.
국토부는 건설업계의 수요 증감 상황을 지속 모니터링하면서 건설 대기업의 수요 분산을 유도해 수요 쏠림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또 하도급사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원도급사가 자재비 인상분을 분담할 경우 건설업 상호협력 평가에 가점 등을 부여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산업부는 국내 철강사들이 생산설비를 풀 가동할 것을 독려하고, 관세청은 철근 수입과 출납 상황을 일 단위로 모니터링한다.
회의를 주재한 강경성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우리 철강업체들은 하반기에도 보수 일정 연기와 수출물량 내수 전환 등을 통해 수요업계에서 요구하는 수준의 충분한 공급을 할 계획이다"라며 "정부도 주요 건설사들에 불필요한 물량 확보를 자제하도록 요청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