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K 방역 혼란' 부산시, 신세계·샤넬과 무슨 사이?

센텀시티 샤넬발 집단감염 …부산시, 방문객 1600영인데 상호 불명처리 빈축

서경수 기자 | sks@newsprime.co.kr | 2021.08.02 15:00:29

[프라임경제] 부산시(시장 박형준)가 다중집합시설 내 집단감염에도 매장명을 숨기기에 급급하면서 여론의 뭇매를 맞고 있다. 이제 겨우 시정 100일을 넘긴 박형준 부산시장의 리더십이 덩달아 도마에 올랐다. 

최근 한 달 사이에 코로나19 감염자 수는 전국 1000명대, 부산 100명대를 육박한다. 좀처럼 진정될 기미가 없는 상황에서 부산시가 보인 '깜깜이 행정'에 비난의 목소리가 터져 나온다.

지난달 30일 해운대구 신세계백화점에서 신규 집단감염 사례가 확인됐다. 명품 매장인 샤넬 직원이 최초 확진돼 접촉자 역학조사를 실시했고, 추가로 동료 직원 6명이 잇달아 확진된 것. 직원의 지인 5명도 감염됐다. 해당 매장 직원 56명은 격리조치됐다. 

지금까지 파악된 매장 방문 고객은 1600명에 달한다. 여름휴가철 성수기를 맞아 많은 피서객들이 부산을 찾고 있어, 전국적으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빠르게 확산될 우려도 한층 커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부산시가 진원지인 백화점과 매장 상호 공개하기를 꺼려해 논란을 자초하고 있다. 

부산시는 방역 지침에 따라 "명부가 확보된 상태라 상호를 공개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내세우고, 줄곧 '해운대구 소재 대형판매시설'이라고만 말해왔다. 

앞서 서울 강남의 현대백화점에서 집단 감염사태가 발생했을 때와는 사뭇 다른 지역방역이다.

부산시가 1600여명이 방문한 신세계 센텀시티 명품 샤넬 매장의 상호를 공개하지 않아 비난이 들끓고 있다. ⓒ 프라임경제

이소라 시민방역추진단장은 "대형판매시설은 장소가 넓고 환기 설비가 잘 된 경우가 많다'며 "이용 고객명부가 확보된 상태이기 때문에 명부를 토대로 조사를 실시하며, 동선 공개의 필요성이 생기면 그때 공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같은 부산시 발표에 즉각적인 비난이 쏟아졌다. 부산시 유튜브 온라인 브리핑에서 여러 언론사 기자들은 상호 공개를 못하는 이유를 물었고, 동시 접속한 시민들 역시 해당 매장을 공개하라며 불만을 나타냈다. 하지만 부산시는 이 같은 요구를 끝내 외면해 왔다. 

결국 불만은 각 언론사 커뮤니티 공간에서 폭발했다. 한 시민은 "부산시는 샤넬만 비호하고 부산시민들의 안전은 뒷전이다"라고 했고, 또 다른 시민들은 "샤넬과 신세계가 국민들 안전보다 중요한 건가. 공무원들 정신 교육부터 다시 시켜라", "부산시 제정신인가? 그래 놓고 질병관리청 탓할 건가",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국밥집, 칼국수집은 바로 상호공개하고 난리를 떨면서 샤넬과 신세계는 뭐? 대형판매 시설?ㅋㅋㅋ"라는 등의 비난이 빗발쳤다.

신세계와 박형준 부산시장을 성토하는 글들도 올라왔다. 한 언론사 댓글창에는 "센텀 신세계 1층 샤넬매장이 벌어다주는 돈이 얼만데 그걸 공개하고 싶겠어?ㅋㅋ돈 좀 찔러주고 입 닫게 하는 낫다고 생각했겠지"라고 개인적인 의혹을 제기한 글이 올라왔다. 

또 다른 곳에는 "업체에 로비 받았나, 시정 참 아리송해", "시민안전보다 재벌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국짐당 클래스", "샤넬 눈치 보는 부산시", "대기업 대변인 부산 시장님" 등의 비아냥 섞은 내용들로 가득 찼다.

현재 신세계 센텀점 샤넬 매장은 방문 고객이 많게는 1시간까지 길게 줄을 서야 할 정도로 인파가 붐비는 곳이다. 매장 방문 고객과 접촉자를 모두 파악하기도 어렵고, 백화점 특성상 샤넬 매장 방문객이 여러 매장을 장시간에 걸쳐 둘러보며 쇼핑과 외식을 즐겼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럼에도 부산시 방역당국은 해당 명품매장만 폐쇄한 채, 센텀시티점 내 다른 매장들은 정상영업 하도록 방치(?)해둔 상태다. 

한 소상공인은 같은 날 집단 감염이 터진 동래구 대형목욕탕 등 그동안 무수히 많은 지역 업체들의 상호가 실시간 공개된 사례를 들고 "업소명 공개에 기준도, 형평성도 없다"라며 "회사 규모가 크든 작든 시행정의 잣대는 공평해야 한다"라고 꼬집었다.

신세계백화점은 광주와 대구 등 다른 도시들과는 달리 부산에는 별도 법인을 두지 않은 채 영업을 이어가고 있다. 따라서 시가 발벗고 나서서 가림막 치고 특별 배려해 줘야할 명분도 그만큼 적다. 

이번 부산시의 행정조치로 지역에 법인을 두고 세금을 꼬박꼬박 바치는 기업들의 사기를 저하시킨 책임을 부산시에 묻지 않을 수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