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경수 SK종합화학 사장이 지난 1일 SK이노베이션 스토리데이에서 폐플라스틱 리사이클 사업 추진 전략을 발표하며 구체적인 친환경 전환을 제시하고 있다. ⓒ SK종합화학
[프라임경제] SK종합화학이 폐플라스틱 재활용 사업에 6000억원을 투자하며 본격적인 친환경 전환에 나섰다.
SK종합화학은 8일 울산시와 '폐플라스틱 자원순환 및 친환경 도시유전 사업 투자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약에 따라 SK종합화학은 2025년까지 약 6000억원을 투자해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 내 축구장 22개 크기(약 16만m²) 부지에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설비를 짓는다. 이는 국내 폐플라스틱 자원순환 사업 중 최대 규모다.
신규 설비는 열분해·폐페트(PET) 해중합 방식으로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한다. 열분해·해중합 방식은 폐플라스틱을 기계로 분쇄·세척한 뒤 녹이는 기계적 재활용 방식이 아닌 화학 반응을 통해 재활용하는 화학적 재활용 방식이다.
SK종합화학은 지난 1월 미국 브라이트마크사와 열분해 기술 관련해 협력키로 하고, 6월에는 캐나다 루프인더스트리사에 진행한 지분투자로 해중합 기술을 확보한 바 있다.

SK종합화학 폐플라스틱 열분해유 연구개발 현장. ⓒ SK이노베이션
SK종합화학은 2024년까지 브라이트마크와 협력해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 내에 연간 10만톤 처리 규모의 열분해 생산 설비를 구축한다. 생산되는 열분해유는 SK종합화학 석유화학 공정의 원료로 사용할 계획이다.
또한, SK종합화학은 캐나다 루프인더스트리와 같은 부지 내에 2025년까지 연간 8만4000톤 처리 규모의 해중합 설비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를 바탕으로 SK종합화학은 2025년 90만톤, 2027년 250만톤까지 폐플라스틱 재활용 규모를 확대해 회사가 생산하는 플라스틱의 100% 수준에 해당하는 폐플라스틱 전부를 재활용해 나갈 방침이다.
SK종합화학은 이번 투자를 시작으로 아시아 지역으로 폐플라스틱 재활용 사업을 확대한다. 오는 2030년까지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지역 내 총 4곳에 폐플라스틱 연간 40만톤 처리 규모의 해중합 설비를 확충하겠다는 목표다.
나경수 SK종합화학 사장은 "이번 설비 투자 결정은 '탄소에서 그린 사업으로의 전환'이라는 전략에 기반한 사업적 실체를 처음 선보였다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며, “이를 시작으로 폐플라스틱 자원 선순환을 견인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해 ESG경영을 완성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