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2450억 들여 'K친환경 선박' 만든다

정부, 바다 위 탄소중립 추진…국비는 1935억원 투입

이수영 기자 | lsy2@newsprime.co.kr | 2021.06.29 15:15:28

한국형 친환경선박 사업 개념도 및 기대효과. ⓒ 산업통상자원부·해양수산부

[프라임경제] 전 세계 탄소중립 추세에 따라 조선·해운업계도 친환경 전환에 촉각을 기울이는 가운데, 정부가 수소·암모니아 등 친환경 연료를 사용하는 선박 개발에 팔을 걷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해양수산부는 '친환경선박 전주기 혁신기술 개발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를 최종 통과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규제 강화 등에 발맞춰 온실가스 배출이 적은 친환경 추진선박 관련 기술을 개발하는 내용이다. 내년부터 2031년까지 10년간 총 2540억원을 투입하며, 지원 대상은 기업과 대학, 연구소 등이다.

친환경 추진선박은 수소·암모니아 등 친환경 연료를 활용하는 저탄소·무탄소 선박과 전기·하이브리드 선박 등 차세대 추진 시스템을 갖춘 미래 고부가가치 선박을 의미한다.

정부는 이번 사업으로 온실가스를 70% 이상 저감할 수 있는 선박 기술을 개발하고 실증 및 운용 실적을 확보해 친환경선박 관련 선진국과의 기술 격차를 해소한다는 구상이다.

아울러 현재 연안-대양 선박으로 이원화된 국내 조선산업과 기자재산업, 해운산업 등 전후방 산업을 친환경 대체연료, 추진시스템 기술로 연계해 새로운 산업 생태계를 구축한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선박 온실가스 배출량을 2008년 대비 70% 감축하기 위한 수소·암모니아 연료 추진기술, 전기·하이브리드 추진시스템 등 핵심기술 및 설계기술 개발에 나서기로 했다.

친환경선박 신기술의 성능과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한 시험·평가 실증기술도 만든다. 친환경 연안 선박을 먼저 개발해 실증하고 보급 기반을 확보한 후 대형 주력 선박의 사업화와 연계할 계획이다.

신기술 적용·상용화를 위한 기준 마련 등 법제도 개선과 국내외 표준화 협력도 추진한다.

정부 관계자는 "친환경선박으로의 전환은 피할 수 없는 국제 규범상 의무이자 조선·해운 분야의 새로운 도전과제"라며 "친환경선박 핵심기술을 확보해 미래시장을 선점하고 새 시대를 선도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친환경선박 전주기 혁신기술개발사업 추진전략. ⓒ 산업통상자원부·해양수산부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