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GS칼텍스가 국내 에너지기업 중 최초로 탄소중립 원유를 도입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에 앞장선다.
GS칼텍스는 세계 최초로 탄소중립 원유 인증을 획득한 스웨덴 에너지기업 룬딘의 노르웨이 요한 스베드럽 해상유전에서 생산된 탄소중립 원유 200만 배럴을 도입한다고 17일 밝혔다.
GS칼텍스의 일일 최대 원유 처리량은 80만 배럴로, 이번 노르웨이산 탄소중립 원유 200만 배럴은 3일 처리량 정도의 물량이지만 국내 에너지기업 중 최초로 탄소중립 원유를 도입한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
해당 탄소중립 원유 200만 배럴은 7월에 선적하며 오는 9월 중 국내에 도착할 예정이다.
룬딘의 요한 스베드럽 유전은 노르웨이 스타방에르 서쪽 140km 떨어진 해상유전으로 전체 매장량 27억 배럴, 하루 약 50만 배럴의 원유를 생산하고 있다.
이 원유는 일반 유전 원유와 비교해 탄소 배출량이 약 40배 낮아 최근 글로벌 시험·인증기관 인터텍으로부터 저탄소인증과 탄소 감축 국제인증기준인 'VCS(Verified Carbon Standard)' 인증을 받았다.
허세홍 GS칼텍스 사장은 "회사의 친환경 경영활동을 확대하려는 노력에 발맞춰, 세계 최초 탄소중립 원유인증을 받은 룬딘사의 탄소중립 원유를 국내에 선제적으로 도입했다"며 "앞으로도 기업시민으로서 다양한 친환경 리더십을 통해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에코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GS칼텍스는 지난해 여수공장 생산시설 가동을 위한 연료인 저유황 중유를 이산화탄소 배출이 적은 액화천연가스(LNG)로 전량 대체 했다.
또한 아모레퍼시픽과 협업을 통해 매년 플라스틱 공병 100톤을 친환경 복합수지로 재활용하고, 이를 다시 화장품 용기 등에 적용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