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우조선해양과 디에스랩컴퍼니, 고려대학교, 시큐아이, 파이오링크 등 5개 산학 기관들은 지난 15일 대우조선해양 서울 사옥에서 사이버보안 기술에 대한 워크샵을 가졌다. ⓒ 대우조선해양
[프라임경제] 대우조선해양(042660)이 자율운항선박과 스마트십 등에 적용할 선박 사이버보안 기술 개발에 나선다.
대우조선해양은 선박 사이버보안 강소기업인 디에스랩컴퍼니와 '해양 사이버위협 인텔리전스 시스템 개발'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협력에 따라 양사는 고려대학교, 시큐아이, 파이오링크 등 관련 기관들과 함께 워크샵을 개최하는 등 2022년까지 선박 사이버보안 기술개발을 위해 상호 협력할 예정이다.
이번 연구과제는 해양수산부의 해양산업 수요기술 연구개발로 디에스랩컴퍼니의 '사이버 거북선' 플랫폼을 기반으로 선박 보안설계용 소프트웨어부터 안전운항을 지원하는 보안기술을 개발하는 과제다. 이에 대우조선해양은 개발된 보안 기술을 선박 및 함정에 탑재할 수 있도록 테스트를 진행하고 자문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최근에는 정보기술(IT)과 운영기술(OT)이 적용된 자율운항선박, 스마트십, 스마트함정 등이 개발되면서 선박과 육상을 연결하는 통신 체계의 발전으로 선박에 대한 사이버보안의 필요성이 급증하고 있다. 자율운항선박, 스마트십 등이 해킹 되면 막대한 인명과 재산 피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올해부터 시행되고 있는 국제해사기구(IMO)의 사이버보안 위험 관리 규제 시행에 따라 전세계 조선해양 산업은 선박과 관련 시스템이 랜섬웨어 등 악성코드와 사이버 공격에 대비하기 위한 기술과 체계를 확보해야 한다. 특히 최근 3년간 선박 시스템 공격이 900%가 증가하는 등 세계 각국은 선박 사이버보안 기술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조용현 디에스랩컴퍼니 대표는 "선박은 IT와 OT 등 여러 기술적 요소가 복합적으로 적용된 해상 시스템이다. 2025년 레벨3 자율운항선박이 개발되고, 현재 선박의 스마트화가 가속화 되면 사이버보안 기술이 더욱 중요해 질것이다"며 "특히 한국의 경우 해운 강국 재건, 스마트 해군 건설 등 사이버보안 능력은 필수적이다"고 설명했다.
대우조선해양은 선박 사이버보안 기술을 통해 새로운 해양 사이버보안 패러다임을 제시하겠다는 방침이다.
정우성 대우조선해양 특수선영업담당 상무는 "첨단기술이 적용되는 상선과 함정은 사이버보안 기술이 기본적으로 탑재돼야 한다"며 "대한민국 해군의 모든 첨단기술이 집약될 경항공모함의 사이버보안 강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