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문재인 대통령은 8일 청와대 여민1관 3층 영상회의실에서 정부서울청사와 정부세종청사를 3원 연결한 화상 국무회의에서 오는 11일부터 13일까지(현지시간) 영국에서 개최된 G7 정상회의 참석에 대해 언급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번 주 개최되는 G7 정상회의에서 한일 정상회담 성사를 염두해 두고 있다. ⓒ 청와대
문 대통령은 "이번 주에는 영국에서 열리는 G7 정상회의에 참석한다"며 "G7 정상회의에 우리나라가 2년 연속 초청 된 것은 우리의 국제적 위상이 G7 국가들에 버금가는 수준으로 높아졌다는 것을 의미할 뿐 아니라 정상회의 참석 자체로 우리 외교가 업그레이드되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문 대통령은 우리나라 경제가 세계에서 10위 정도 수준으로 발전한 것과 △문화 △방역 △보건의료 △시민의식 같은 소프트파워 분야에서도 세계적으로 높게 평가 받은 것에 대해 자랑스러워 했다.
문 대통령은 "G7 정상회의를 글로벌 현안 해결에 기여하는 우리 역할을 강화하고 외교 지평을 확대하는 계기로 삼겠다"며 "우수한 바이오의약품 생산 역량을 바탕으로 글로벌 백신 허브의 역할을 강조하고, 기후위기 대응에서 선진국과 개도국 간의 협력을 이끄는 가교 국가로서의 역할을 부각시킬 것"이라며 국제사회의 책임과 역할이 커진 것에 대해 강조했다.
한편 문 대통령은 이번 G7 정상회담에서 한일 정상회담 등 양자 회담 개최를 염두에 두고 있다.
하지만 최근 한일 간 접촉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일본 외신 보도가 이어지고 있어 한일 양자 정상회담 성사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특히 최근 일본이 도쿄올림픽 성화봉송 지도에서 독도를 일본 영토로 표시해 한일 간 의견 차가 심각한 상황에서 일본군 위안부에 이어 강제징용 피해자들이 낸 소송에서도 일본 측의 배상 책임을 물은 기존 판결과 반대 결과가 나와 한일관계가 쉽게 풀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한일 정상회담이 성공적으로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미국의 바이든 행정부가 대중국견제를 위해 한미일 공조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을뿐 아니라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에 있어 우리 정부 역시 한미일 공조에 발을 맞추고 있기 때문이다.
이번 주 개최되는 G7 정상회의에서 한일 양자회담 뿐 아니라 한미일 다자회담의 성사 여부에 따라 독도 문제를 비롯한 다양한 한일 간의 문제가 어떻게 풀릴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문 대통령은 "이번 G7 정상회의를 코로나 이후 중단됐던 다자 정상회의가 재개되는 것일뿐만 아니라 주요국과 활발한 양자 정상 외교를 펼칠 수 있는 기회"라며 ""국민들께서도 많은 관심과 성원을 보내 달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