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부산진구 전포복지관, 무자격자 채용비리 논란

사회복지사 1급 제치고, 최고 점수로 합격...채용과정 의혹 투성

서경수 기자 | sks@newsprime.co.kr | 2021.02.20 21:59:03

부산광역시 진구에 위치한 전포사회복지관 전경. ⓒ 프라임경제

[프라임경제] 부산광역시 전포복지관 채용비리 의혹이 도마에 올랐다. 부산 부산진구청(구청장 서은숙) 위탁시설 전포종합사회복지관이 채용기준을 어기고 사회복지사 자격증이 없는 무자격자를 합격시켰다는 것이다. 

지난 2019년 3월 관장 대행을 맡던 A씨가 결원 직원 충원을 하는 과정에서 벌어졌다. 전포복지관 수탁법인 그린닥터스에 따르면 A씨에게 "부산진구청-그린닥터스 간 합의에 따라 2개월 숙려시간을 갖기로 했으니 이 기간에 결원 직원의 채용을 보류하고, 현재 진행 중인 직원 채용(기간제, 단기 근로제 포함)도 중지할 것을 요구했다"며 "하지만 A씨가 이에 불응하고 2019년 2월 말경 임의로 채용공고를 내고 신규직원을 충원했다"고 주장한다.

이에 대해 A씨는 "당시 구청과 법인과의 합의하에 채용했다"는 입장이다.

그런데 상부의 지시를 어긴 것도 문제지만 신규직원을 뽑는 과정에서 사회복지사 자격증이 없는 무자격자 B씨를 채용하는 어처구니없는 상황이 발생했다고 그린닥터스 측은 주장한다.

2019년 3월에 전포복지관 사회복지사(계약직) 신청자는 모두 12명. 이들 가운데 사회복지사 1급 4명, 1급 발급예정자가 6명, 2급 1명 그리고 B씨 였다.

당시 채용심사자는 복지관 관장대행 A씨와 팀장 2명 등 모두 3명이었다. 1차 서류 심사에서는 △사회복지사 자격 △사회복지경력 △지원동기 △운전면허 등으로 각각 5점 만점 기준으로 6명을 뽑았다. B씨도 14점을 받아 1차 서류심사에 통과했다. B씨에게 자격증 배점 3점이 부여됐다. 

이어 3월13일 2차 면접에서 B씨는 세 명의 심사자에게 총 300점 만점에 292점을 얻어 최종 합격자가 됐다. 2위는 282점(복지사 1급 발급 예정)이었다. 당시 사회복지사 2급 자격증 소지자가 아닌 B씨가 1급 자격자들을 제치고 우수한 성적으로 최고점을 받게 된 배경에 관심이 쏠리는 이유다.

지난 19일 열린 부산진구의회 제311회 임시회 1차 본회의에서 국민의힘 오우택 의원 5분 자유발언에서 공개한 자료를 보면 B씨의 채용 일자는 2019년 3월 18일. 그런데 B씨가 사회복지사 2급 자격을 취득한 날짜는 3월21일로 돼 있다, 정황으로 볼 때 B씨에게 복지사 2급 자격을 준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2019년 3월 18일 B씨 관련 채용 문서와 자격증 사본. ⓒ 오우택 부산진구의회 의원

전포복지관은 2008년부터 학교법인 동의학원이 수탁법인으로 10년 넘게 복지관을 운영해왔다. 관장 대행 A씨와 복지관 팀장이 같은 대학 사회복지학과 출신이고 합격자 B씨도 이들과 동문이다. 또한 복지관 직원 14명 가운데 12명이 이 곳 출신이다.

사회복지 관련 종사자는 "채용 당시에 무자격자에게 추후 자격을 취득하도록 눈감아 준 것은 학연에 의한 채용비리로 비춰지기 충분하다"면서 "불공정한 행위가 발생한데 대해 감독을 소홀히 한 진구청의 책임도 크다"고 짚었다.

오우택 의원은 "복지관 자체 규정을 위반했을 뿐만 아니라 가장 공정해야 할 직원채용 문제에 엄청난 의혹이 있는 만큼 반드시 소명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A씨는 지난 9일 △사회적기업 빵집 관련 업무상 배임 △스타벅스커피코리아 후원금 관련 부적절한 행위 △업무지시 불이행 △권한 남용 등으로 그린닥터스 측으로부터 해고된 상태다.

이에 대해 부산사회복지노조는 지난 15일 입장문을 내고 "A씨는 인사위원회에 의해 부당하게 해고당했다"며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아울러 B씨에 대해서도 부당해고 및 부당노동행위 구제신청을 하는가 하면, 그린닥터스가 운영 중인 병원 앞에서 한 달 가까이 피켓 시위를 벌이고 있다.

그린닥터스 측은 "A씨는 복지관 관련법을 어겨서 해고됐다. 또 B씨는 계약이 종료된 근로자다. 부당해고는 터무니없는 주장"이라며 "노조가 나설 사안도 아니고, 준엄한 법의 판단에 맡길 문제"라고 말했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