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진행될 것이라 예상됐던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의 통화를 4일 진행했다.
이번 정상통화에서 문 대통령은 "코로나, 기후변화, 경제 양극화 등 중첩된 전 세계적 위기 속에 '미국의 귀환'을 환영한다"고 전했다.
이어 문 대통령은 "나와 바이든 대통령은 공동의 가치에 기반한 한미동맹을 한 차원 업그레이드하기로 약속했다"며 "한반도 평화는 물론 세계적 현안 대응에도 늘 함께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문재인 대통령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취임 2주만에 한미 정상 통화를 했다. ⓒ 청와대
한편 이번 한미 정상통화는 바이든 정부 들어선 뒤 처음으로 이뤄진 양국 정상 공식 통화로,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20일(현지시간) 취임 후 △저스틴 트뤼도 캐나다 총리(22일) △안드레스 미누엘 로페즈 오브라도르 멕시코 대통령(23일)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23일)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24일)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25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26일)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27일) 통화 후 8번째로 진행됐다.
이처럼 한미 정상통화가 늦어진 이유에 대해 다양한 해석이 나오고 있으며, 가장 많이 짐작되는 이유로 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한중 정상 통화를 꼽았다.
이는 미중 간 갈등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한미 정상 통화보다 한중 정상 통화가 먼저 이뤄진 것에 대한 불만을 표현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다.
이에 대해 청와대는 "통화 시점보다 통화 메시지가 중요하다"며 전망보다 통화가 늦어진 것과 관련해 미국측이 준비 시간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전달해 왔다고 밝혔다.
하지만 청와대에서 밝힌 한미 정상 통화 내용을 살펴보면, 한미동맹을 더욱 업그레이드 한다는 약속과 한반도 평화에 대해 언급했지만 정확한 대북 관련 메시지가 나오지 않아 향후 바이든 정부가 북미 관계를 어떻게 이끌어 갈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