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두관 더불어민주당 경남 양산을 국회의원. ⓒ 김두관의원실
[프라임경제] 경남과 울산 지역 시군의 소멸위험지수가 지난 5년새 가장 높은 수준으로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김두관 더불어민주당(경남 양산을) 의원실에 따르면, 경상남도 전체의 소멸위험지수(20~39세 여성인구를 65세이상 인구로 나눈 수치)는 2015년 0.898로 주의단계였으나, 2020년 5월 현재 0.652로 소멸위험진입 단계에 이른 것으로 드러났다.
비수도권 8개 도 가운데 수치가 가장 많이 떨어졌으며, 울산의 경우 같은 기간 1.564에서 1.002로 전체 광역시 가운데 위험도 수치가 가장 심각했다. 같은 기간 부산 역시 0.924에서 0.653으로 떨어져, 전국적으로 보아도 부울경의 소멸위험지수 악화정도가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경남 도내 소멸위험 시군(4,5 등급)은 2015년 10곳에서 2020년 12곳으로 늘었다. 수치상으로만 보면 크게 악화되지 않은 것처럼 보이나 내용을 뜯어보면 심각한 지경이다. 5년 전에 5등급(소멸위험지수 0.2 미만) 소멸고위험지역이 하나도 없었고, 모두 4등급이었다.
그러나 2020년에는 소멸고위험지역이 5곳, 소멸위험진입단계가 7곳이다. 함양(0.206)과 고성(0.221)의 경우 특별한 대책이 없으면 곧 5단계 소멸고위험지역에 진입할 전망이다.
김두관 의원은 "228개 시군 가운데 소멸위험지역이 100곳을 넘었다"며 "지방소멸을 막기 위해서는 혁신적인 수준의 균형발전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지방소멸이 가시화 되고 있어 선제적 대응이 이미 늦은 상황인 만큼, 추세를 돌이키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방향 전환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