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부울경 민주당 시·도당 위원장들이 부산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김현미 국토부 장관 사퇴와 김수삼 검증위원장 문책을 촉구했다. (좌측부터 박재호 부산시당위원장,김정호 경남도당위원장,이상헌 울산시당위원장 ) ⓒ 프라임경제
이에 문재인정부는 부울경의 요구를 받아들여 지난해 총리실이 직접 김해신공항 검증위를 꾸렸다. 그러나 발표를 앞두고 김수삼 검증위원장이 안전분과 최종보고서를 배제했고, 분과위원들이 검증위 전체회의 참석을 거부는 일이 벌어졌다.
결국 검증위는 안전분과위원 5명 중에 4명이 불참한 가운데 총리실국과장이 작성한 수정보고서를 놓고, 타 분과위원들만이 참석한 전체회의에서 다수결로 최종보고서 내용을 강행처리했다.
이에 분노한 부울경 행정부와 정치권 그리고 시민단체들은 일제히 "공정성에 심각한 훼손이 발견됐다"며 "이는 총리실(검증위원회)이 중립성 의무를 명백하게 위반한 것으로 그 결정은 원인무효"라고 반발하고 나섰다.
변성완 부산시장 직무대행은 지난 27일 기자회견을 갖고 "공정하지 못한 김해신공항 검증결과를 수용할 수 없다"며 "전체 위원의 60%에 불과한 13명의 위원만이 표결에 참여했다"고 성토했다.
이어 "정세균 총리께서는 한 점 의혹 없이 투명하게 공개하기로 약속한대로 모든 검증과정과 결과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며 강한 불만을 나타냈다.
그런가하면 28일에는 부울경 민주당 시·도당 위원장(박재호 부산시당, 이상헌 울산시당, 김정호 경남도당)들이 부산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김현미 국토부 장관 사퇴와 김수삼 검증위원장 문책을 촉구하고 나섰다.
이들은 "총리실 검증위가 안전분과위원들의 전문성과 독립성을 완전히 무시함으로써 이들의 집단반발을 자초했다. 이는 객관적이고 공정한 검증이라는 대원칙을 저버린 행위"라며 김수삼 검증위원장을 겨냥했다.
부울경위원장들은 "24시간 동남권 관문공항건설은 문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자 우리 민주당의 총선 공약이었다"며 "전 정부의 잘못된 정치적 결정으로 소음피해 확대, 심야시간 비행금지, 확장성이 전혀 없는 김해신공항을 강행하고 있는 김 장관의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다"며 날을 세웠다.
이어 정세균 총리에게는 "솔로몬의 지혜로운 판단을 간절히 기대한다"며 "만일 지난 정권과 같이 중앙행정관료들에 포위되어 또 다시 잘못된 결정을 내린다면 부울경은 기대가 실망을 넘어 분노로 치닫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총리시절 김수삼 검증위원장을 직접 선임한 이낙연 대표를 향해 "전당대회 당시에 김해신공항의 문제점을 인정하고 국가균형발전과 부울경이 동북아 물류허브로 재도약하기 위해 가덕신공항을 지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며 결자해지를 주문했다.
부산광역시청 광장에 '가뎍신공항은 문제인 약속'이라는 글귀의 현수막이 걸려있다. ⓒ 가덕도신공항유치 국민행동본부
이날 부산광역시 구청장군수협의회·부산광역시의회도 성명서 내고 "현재 공항 문제를 둘러싼 부산지역의 민심은 폭발 일보 직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며 "안전하지 않은 김해신공항은 절대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부울경 정치권이 총리길과 토부를 상대로 압박을 가하는 반면에 그동안 가덕신공항을 염원해 온 부울경 시민단체들의 분노는 훨씬 직설적인 표현과 행동으로 청와대를 직접겨냥하고 있다.
가덕도신공항유치 국민행동본부(사무총장 강진수)는 지난 24일 청와대 앞에서 단체삭발식을 강행한 자리에서 "문대통령은 좌고우면 말라"며 "가덕신공항 공약을 즉각 이행하라" 촉구했다.
본부는 "지난 10여년동안 주민들은 허브공항을 목 놓아 외쳤다. 연간 500만명의 국제선 승객과 국제항공물류의 99%를 인천공항에 의존해야 하는 부울경 지역주민의 불편과 경제적 손실을 집권여당과 정부는 똑똑히 알아야 한다"면서 "수도권 초집중과 인천공항 일극체제를 앞장서서 옹호하는 김현미, 이낙연, 정세균 그리고 김수삼 등을 '지방몰살 4적'으로 규정 한다"고 규탄했다.
한편 가덕도신공항유치 국민행동본부는 오는 29일 부산시청 광장에서 총궐기대회를 갖는다. 앞서 청와대에서 단체삭발을 강행한 5인이 문재인대통령께 호소 상소문을 낭독한다. 이 자리에는 류영진 전 식약처장, 최지은 민주당 북강서을위원장, 남연옥 부산시의원, 유정호 국민운동본부 부대표 등이 참석해 불복종연대결의에 동참할 예정이다.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