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대통령직속 일자리위원회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고용충격이 현실화됨에 따라 고용위기 극복을 위한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는 데 정책적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23일 밝혔다.
이를 위해 일자리위원회는 23일 김용기 부위원장 주재 전문·특별위원회 위원장 회의를 개최하고, 코로나19 위기극복 방안 등을 논의했다.
일자리위원회는 지난 3월 제14차 일자리위원회 회의를 통해 문재인 정부 '후반기 일자리정책 추진방향'을 상정·의결하고, 후반기에 중점적으로 추진해 나갈 일자리 정책방향을 설정한 바 있다.
하지만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3월 실업급여 신청자가 증가하는 등 고용상황이 급속히 악화됨에 따라 일자리위원회는 '일자리 지키기'를 정책 최우선 과제로 다룰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지난 22일 보건의료일자리 특별위원회 회의를 시작으로 23일 공공일자리 전문위원회, 오는 27일 민간일자리 전문위원회 회의를 개최하는 등 전문·특별위원회를 본격 가동하고 다음과 같은 주요정책에 대해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공공일자리 전문위원회'는 고용위기의 심각성을 감안해 과감한 공공일자리 창출 및 일자리 안전망 확대 등이 주요의제가 될 전망이며, '민간일자리 전문위원회'에서는 기업의 고용유지를 위한 다양한 해법들에 대한 논의가 이뤄진다.
'보건의료일자리 특별위원회'에서는 코로나19 이후 더욱 중요해진 공공의료 체계 강화방안과 감염병 전문의 등 보건의료 인력 양성방안이 '사회적경제 전문위원회'는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의제들이 다뤄진다.
이 밖에도 △여성 TF △청년 TF △건설 TF 등 분야별 분과위원회를 통해 고용위기 극복을 위한 창의적인 아이디어들이 정책화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