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문재인 대통령은 20일 '제40회 장애인의 날'을 맞아 '우리는 모두 서로에게 소중한 사람입니다'라는 내용의 SNS의 메시지를 올렸다.
문 대통령은 SNS를 통해 "장애인이 걷기 편한 길은 비장애인도 편하게 걸을 수 있다. 장애인이 불편함 없이 마음껏 일상을 누리는 세상은 비장인의 삶도 풍요롭다"며 "제40회 '장애인의 날'을 맞아 '모든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자유롭고, 존엄성과 권리에 있어 평등하다'는 정신을 되새긴다"고 전했다.
이어 문 대통령은 "우리 몸의 중심은 머리도 심장도 아니고 '아픈 곳'이라는 말이 있다"며 "우리 공동체의 중심도 '아픈 곳'이다. 아픈 곳이 나으면 사회 전체가 낫게 된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이번 코로나19로 인해 사회적 취약계층 및 장애인에 대한 정책과 처우 개선에 대해 언급했다.
문 대통령은 "'코로나19'를 겪으며 우리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잘 사는 길에 대해 더 많은 고민을 하게 됐다"며 "재난의 크기는 모든 이에게 평등하지 않고, 장애인이나 취약한 분들에게 재난은 훨씬 가혹하다"고 말했다.
이어 문 대통령은 "우리는 '코로나19'를 겪으며 그 사실을 다시 한 번 절감했다"며 "재난이 닥쳤을 때 장애인에게는 정보가 어떻게 전달돼야 하는지를 비롯해 △마스크와 같은 방역물품은 어떻게 공급돼야 하는지 △'사회적 거리두기'를 할 때 장애인과 장애인 가족의 돌봄 공백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온라인 수업은 또 어떻게 할 것인지 등 좀 더 세심해져야만 그나마 재난 앞에서 조금은 더 평등해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문 대통령은 이번 '코로나19'를 교훈 삼아 재난이 닥칠 때 장애인이 비장애인에 비해 불평등하게 더 큰 피해를 입는 일이 없도록 시스템을 정비해 나가기로 했다.
문 대통령은 "장애인과 장애인 가족들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위해 더욱 노력하겠다"며 "'장애등급제 폐지'에 따른 정책적 노력도 더욱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끝으로 문 대통령은 "'코로나19'는 분명 위기이지만 장애인의 권리를 보장하는 것이 우리 모두 함께 행복할 수 있는 길이라는 것을 체감하는 기회가 됐다"며 "우리 모두가 서로에게 소중한 사람이라는 점이 참으로 고맙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