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부산광역시 고용현황. ⓒ 부산시
시는 올해 고용노동부가 주관한 '2019 전국 지방자치단체 일자리대상' 시상에서 공시제 부문 5년 연속 수상과 우수사업 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한 데 이어, 행정안전부로부터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 성과 창출에 이바지한 공을 인정받아 '우수기관' 표창을 받았다.
이러한 일자리 성과는 고용지표에서 더욱 두드러진다. 부산의 고용률은 지난해 2월부터 10개월 연속 상승했고, 64세 이하 고용률은 7대 특·광역시 중 꼴찌에서 4위로 올라갔으며, 실업률은 2017년 6위(4.1%)에서 3위(3.1%)로 상승했다.
또한, 2019년 부산 청년고용률은 역대 최고 기록을 계속 경신하고 있다. 2019년 3분기 청년고용률은 44.6%로 2002년 이후 가장 높았다. 지난해 같은 분기 대비 4.9% 포인트 상승하여 7대 특·광역시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이며 7대 도시 중 3위를 차지했다.
부산 고용지표(2019년 1월 ~ 12월) ⓒ 부산시
부산시는 새해에 고용지표 개선 등 긍정적인 모멘텀은 더욱 확산하고, 시민들이 더욱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펼쳐 나갈 계획이다.
첫째, 시민이 체감하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부산형 좋은 일자리·일터' 발굴 및 확산 사업을 추진한다. '고용의 질'을 나타내는 부산형 고용지표를 활용하여 좋은 일터 가이드라인 마련 및 기업 소개 매뉴얼 제작, 컨설팅 등을 추진하고, 홍보 플랫폼 구축을 통해 부산형 좋은 일터 발굴 및 확산에 힘쓸 예정이다.
둘째,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에 대한 평가를 각 부서 중심의 일자리창출 양적 평가에서 사업별 정책수혜자 중심의 질적 평가로 전환하고, 컨설팅단을 구성해 유사·중복·부진사업은 사업 통합·축소 등 개선방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시민의 참여를 확산할 계획이다.
셋째, 민선7기 처음 선보인 '부산 OK일자리사업'은 내년 1월 신규사업 추가 공모를 시작으로 사업의 자립화를 지원하고, 우수사례를 발굴·확산하는 등 구·군의 주민과 지역기업이 중심이 되어 지역특성에 맞는 일자리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연도별 대학졸업자 취업률 및 청년고용률 비교표. ⓒ 부산시
또한, 청년들의 취업지원, 근로환경개선, 주거안정 지원을 통한 청년들의 인구 유입을 유도하는 '파이팅 3종 세트'와 강서구 33만 5000㎡에 부산 상생형 일자리사업으로 추진 중인 '코렌스 전기차 클러스터'가 구축되면 청년 일자리 여건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윤일 부산시 일자리경제실장은 "현장 체감도를 높일 수 있도록 면밀한 고용시장 분석 및 산업별 고용변화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시민 만족도 제고 및 지역특화 일자리 창출 가속화에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