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부산지하철노조가 오는 6일 부산시청 광장 앞에서 서비스지부 직접 고용 결의대회를 갖는다.
부산지하철의 청소노동자인 서비스지부 조합원들이 직접고용을 요구하며 시청 앞에서 천막 농성을 시작한 지 한달이 지났다.
부산지하철노조는 그동안 부산시장과의 면담과 노사전문가협의회 개최 요구 등을 계속했으나, 부산시와 부산교통공사는 무시와 외면으로 일관하고 있다며 결의대회를 열게 된 배경을 설명했다.
노조 측은 "100개가 넘는 역사와 매일 1000회 넘게 운행하는 열차를 청소하는 일은 부산지하철을 운영하는데 없어서는 안될 상시적이고 필수적인 일"이라며 "오직 인건비 절약을 이유로 부산교통공사는 직접 고용을 하지 않고 11개 용역 업체로 분리해서 간접 고용을 하고 있다. 그로 인해 청소노동자들은 최저임금 수준의 월급과 변변한 대기실, 샤워실도 없는 열악한 근무환경에서 일을 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문재인 정부가 '공공부문 비정규직 제로화', 오거돈 부산시장은 '노동존중 부산'을 천명했지만 여전히 청소노동자들은 직접 고용할 수 없고 자회사를 설립하겠다는 것이 부산시와 부산교통공사의 입장"이라고 밝혔다.
이는 결국 기존 11개 용역업체가 자회사 1개로 줄어드는 것으로, '또 다른 이름의 비정규직'이라는 게 노조 측의 주장이다. 자회사로 갈 관리비와 영업이익, 부가세 등을 직접 고용하면 기존의 예산 범위 내에서도 충분히 노동자들의 처우 개선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는 설명을 덧붙였다.
노조 측은 그런데도 굳이 자회사를 고집하는 것은 부산시와 부산교통공사가 퇴직 공무원과 퇴직 간부들을 위해서 자회사의 임원 자리를 주기위한 방편으로 젯밥에 더 관심이 있는 것은 아닌지 의심할 수밖에 없다는 대목이라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현재 1000여명 되는 청소노동자들의 규모가 너무 커서 직접 고용이 어렵다는 것도 황당한 변명에 지나지 않는다"며 "직접 고용돼 단체교섭을 요구하거나 파업을 하면 귀찮아질 거라는 시대착오적인 천박한 노동 인식에 비롯된 발상"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서비스지부 조합원들은 2019년 1월부터 부산시청과 부산교통공사 앞에서 직접 고용을 요구하는 피켓 시위를 해왔고, 지난 12월 5일부터는 시청 앞에서 농성을 시작했다.
노조측은 "200여명의 부산지하철노동조합 간부들은 1월6일 결의대회를 통해 자회사를 강요하는 부산교통공사와 대화를 거부하는 오거돈 부산시장을 규탄하며, 서비스지부 직접 고용 쟁취의 목소리를 전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