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부산시체육회 '후보검증 공개토론' 생략...체육회장 선거 '짬짜미 논란' 자초

장인화 후보, 도 넘는 '부자 몸조심' 비난 직면

서경수 기자 | sks@newsprime.co.kr | 2019.12.24 11:50:51

[프라임경제] "아무리 대의원선거라지만 혈세 360억이 드는데 부산시민들은 후보가 누군지도 모른 채 '깜깜이'로 진행 돼 기가 찰 노릇입니다."

부산시체육회가 수준이하의 행정으로 '제 식구 감싸기' 논란에 휩싸였다. 공정한 경쟁과 후보검증을 위한 절차로 제시한 '공개토론회'를 생략하면서, 일부 체육인들 사이에서 "친정후보를 엄호한다"는 의혹마저 확산되고 있다.  

사상 첫 민선 부산시체육회장을 선출하는 선거 운동이 지난 18일부터 본격 가동된 가운데 일주일이 다가도록 시체육회가 후보자들의 '공개정책 토론회' 일정조차 잡지 않고 있다. 이대로라면 오는 27일 예정된 선거는 부산시민들이 앞으로 3년 동안 부산체육계를 이끌 후보가 누군지 검증조차 못한 채 그야말로 '깜깜이'로 치러지게 될 판이다.  

이번선거에는 장인화 전 부산시체육회 수석부회장, 정정복 전 부산축구협회장 두 명의 후보가 등판했다. 이 가운데 장 후보는 지난 1년여 오거돈 부산시장을 대신해 시체육회조직을 실질적으로 이끌어 온 인물이다. 경쟁자 정 후보는 15년 만에 축구A매치와 동아시아5개국 남·여 국제축구대회 부산유치를 성공시킨 장본인.

시체육회장 선거는 누가 더 많은 대의원 수를 확보하느냐에 성패가 달렸다. 체육과 정치 분리가 목적인 이번 선거는 시체육회 산하 종목단체 대의원과 16개 구·군 체육회장으로 구성된 선거인단 456명이 무기명 1인 1투표로 최다득표자가 당선된다.

제100회 전국체전 부산시선수단 결단식 모습. ⓒ 부산시체육회

따라서 후보들은 일일이 대의원들을 찾아 지지를 호소해야 하고 이 과정에서 흑색비방 및 금품제공 등 불법선거유혹에 노출되기 쉬운 선거 구조다.

이에 정정복 후보는 지난 13일 기자회견을 열어 'TV정책토론회'를 제안했다. 짧은 선거기간으로 인해 자칫 깜깜이 선거, 줄 세우기 선거, 향응제공과 금품선거 등으로 변질될 우려가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에 경쟁상대인 장인화 후보는 "피할 이유는 없다"면서도 "선거법에 위배될 소지가 있으니 대한체육회 판단을 기다려보자"며 다소 유보적인 입장을 밝혔다.

빅 매치답게 두 후보가 부산체육계에 미친 영향력은 상당하다. 따라서 '민선 1호' 명예가 꼬리표로 붙는 초대회장 타이틀을 놓고 체육인들답게 서로의 정책을 테이블위에 놓고 진검승부를 펼칠 것으로 한층 기대감을 높였다.  

그러나 고조된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는 상황이 발생했다. 부산시체육회 선관위는 지난 17일 "공개토론은 규정에 없다"며 불가판정을 내렸다. 도무지 상식적이지 않은 이 같은 결정에 의혹의 눈초리가 선관위를 향했고, 결국 정 후보 측이 상위기관에 문의해본 결과 시체육회와는 달리 "후보들 간의 합의가 있으면 가능하다"라는 것이 대한체육회의 입장이었다. 더구나 시체육회가 "규정에 없다"고 판정을 내린 같은 날 대한체육회는 이와 같은 내용이 담긴 공문을 시체육회 선관위 측에 하달된 것으로 확인됐다.

그런가하면  부산시체육회 선관위는 이날 받은 공문을 각 후보 측에 전달하지도 않은 채 17일 공개토론회를 하지 않기로 일방적으로 의결했다는 새로운 사실도 밝혀져 논란을 더욱 키웠다.

공정하고 깨끗한 선거를 위해 시민과 유권자에게 후보검증 할 수 있도록 마땅히 알권리를 제공하는 것이 선관위 본연의 역할인데 현재 부산시체육회 선관위는 "행정상의 착오라며, 의도된 건 아니다"라며 궁색한 해명을 늘어놓는데 급급한 실정이다.

부산시체육예산은 360억, 인천 570억, 인구 145만 광주광역시(390억)에도 못 미칠 정도에 초라한 수준이다. 일머리가 없어 미숙하다는 비난은 그나마 좀 낫다. 심지어 이번 공개토론논란에 대해 체육계 일각에서는 부산시민들의 눈과 귀를 막아 특정후보를 밀기 위한 얄팍한 꼼수를 부린다며 '짬짜미 선거' 의혹마저 제기하고 있어 파장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장인화 후보는 앞서 "피할 이유 없다"며 대한체육회 결정을 지켜보자면서 조건부 수용했던 TV정책토론회에 대해 최근에는 "간담회 정도는 가능하다"라며 사실상 거부로 입장이 바뀐 것으로 전해진다.

이에 지역체육계관계자는 "'부자 몸조심' 누가 봐도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치르는 선거"라면서 "지난 1년간 오거돈 시장을 대신해 예산을 주무르며 이미 시체육회조직 장악을 끝낸 터라 굳이 피 흘리고 싶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비록 부산시체육회예산이 인구대비 다른 시도에 비해 최하수준이라고는 하나, 그래도 360억원에 이른다. 하물며 시민의 혈세로 운영되는 단체에 장을 뽑는 선거인데 후보검증을 위한 공개토론회조차 피하려는 후보가 만일 있다면 그가 과연 대한민국 제2도시 체육회 수장으로서 적격한지 따져 봐야할 부분임에는 분명하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