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각 지자체가 지역경제 활성화와 고용확대를 위해 지역형 일자리 사업에 적극 나서고 있으나 부산은 아직까지 특별한 움직임을 찾아볼 수 없어 안타깝다."
자유한국당 부산시당은 9일 수석대변인발 성명을 내고, 부산시를 향해 청년실업 해소를 위한 특화형 청년 일자리 방안을 수립할 것을 촉구했다.
이주환 수석대변인은 "지역경제 활성화와 신규고용 창출을 위한 지역특화형 일자리 사업이 관심을 끌고 있다"며 "광주형 일자리, 구미형 일자리, 울산형 일자리, 강원형 일자리 등이 그것이다"라고 말했다.
이주환 수석대변인. ⓒ 자유한국당 부산시당
광주의 경우 5800억원의 투자, 직접 고용 1000명, 간접 고용 1만명∼1만2000명의 고용 효과를 기대하고 있으며, 구미도 5000∼6000억원 투자, 직접 고용 1000명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부산의 청년고용률은 40.3%로 전국 평균 42.9%에 못 미치고, 청년실업률은 12.4%(전국 평균 9.7%)에 달한다. 지난해 일자리를 찾아 부산을 떠난 청년들이 1만1000명으로 순유출인구 2만7000명의 41%을 차지하고 있다.
이주환 수석대변인은 "오거돈 시장은 청년실업과 부산이탈 문제에 대한 대책으로 2022년까지 106개 사업에 총 4921억원을 투입하는 청년정책로드맵을 발표했다"며 "하지만 구체적인 내용을 보면 취업교육, 주거·복지·문화생활 지원, 학자금 지원, 중소기업 근무환경 개선, 창업지원 등 당장의 고용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구태의연한 선심성 퍼주기 사업들이 대부분이다"고 주장했다.
이어 "효과도 불분명한 선심성 사업을 즉각 철회하고, 부산의 산업특성에 맞는 '부산특화형 청년일자리 사업' 모델 개발에 적극 나서줄 것"을 요구했다.
그러면서 "향후 3년 간 투입될 청년 예산 5000억원을 신사업 발굴과 기업 유치에 투입한다면 부산만의 지속가능한 청년 일자리 모델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충분한 동력이 될 것"이라고 제안했다.
이 수석대변인은 "일본의 경제보복에 대한 초당적 대응을 위해 앞서 유재중 한국당 부산시당 위원장의 제안으로 부산시와 정치권이 참여하는 '부산경제원탁회의'가 발족했다"며 "이를 통해 부산의 청년실업 문제 해소와 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이 만들어 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