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차기 여신금융협회장 선출에 있어 부당한 선거 개입이 계속되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사무금융노조는 지난 5월28일 서울 중구 여신금융협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관료 출신 인사를 반대 의지를 표명한 바 있다. ⓒ 사무금용노조
전국사무금융서비스노동조합(이하 사무금융노조)은 4일 성명서를 통해 "모 후보가 과거 모피아(재무부+마피아의 합성어)의 썩은 동아줄을 활용해 투표권이 있는 회원사들을 압박하고 있다는 소문이 돌고 있다"며 "도를 넘는 부당한 선거 개입행위에 개탄을 금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이러한 행위는 유력 인사들이 지인들을 통해 각 금융기관을 압박해 점수까지 조작하며 이뤄진 채용비리와 다를 바 없다"며 "이를 엄단하겠다고 선언한 현 정부의 기조와 완전히 배치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만약 이러한 방식대로 협회장이 선출된다면 차기 협회장은 선거 과정에서 자신을 도운 관료 출신 인사나 금융당국에 빚을 지게 된다"며 "협회장이 그 빚을 갚기 위해 정부 정책에 순응하는 나팔수가 될 수밖에 없다"고 분개했다.
이와 함께 "현재 협회장 선거에 부당하게 개입하고 있는 것으로 거론되는 인사들은 오래 전에 금융당국에 종사했던 사람들"이라며 "현재 여신금융협회 부회장(전무)이 기재부 공무원 출신인 상황에서 협회장으로 관료출신이 선출된다면 협회장과 부회장 모두 이른 바 모피아 출신이 장악하게 된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만약 이런 일탈행위들이 계속되고, 금융당국의 채무자일 뿐인 관료출신 인사가 선출될 경우, 대표적인 낙하산 사례로 규정하고 투쟁해나갈 것"이라고 공언했다.
이러한 사무금융노조의 주장에 대해 여신금융협회 관계자는 본지와 만난 자리에서 "지금까지 투명하고 공정하게 절차를 가져가고 있다"고 답했다.
한편, 여신금융협회는 지난 5월30일 첫 회장후보추천위원회(이하 회추위)를 열고 차기 회장에 지원한 후보자 10명 가운데 김주현 전 예금보험공사 사장, 임유 전 여신금융협회 상무, 정수진 전 하나카드 사장 등 총 3인의 후보자를 최종 면접후보자로 선정했다.
오는 6월7일엔 선정된 3인의 면접후보자에 대해 회추위를 개최해 면접을 실시하고 투표를 통해 최종 1인의 후보자를 선정, 총회에 추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