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부산시가 문현금융단지를 블록체인 특구로 조성할 계획임을 밝히고 발빠른 행보에 나섰다.
4차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의 하나인 블록체인은 가상화폐로 거래할 때 해킹을 막기위한 보안기술로 알려져 있다. 보안성, 투명성, 탈중계성 및 확장성 등을 바탕으로 한다. 개인 간 안전한 거래를 가능하게 하고 전통적인 금융 업무를 비롯해 주식 및 자산 거래, 보험 등의 업무를 스마트계약을 통해 자동화·단순화한다.
2일 유재수 경제부시장이 새로운 금융생태계 조성을 위한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 싱가포르에서 활동 중인 블록체인 분야 전문가들과 만나 간담회를 가졌다.
싱가포르는 차세대 화폐거래 대표주자로 꼽히는 바이텍스와 국내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가 거래소를 오픈한 블록체인 허브국가로 알려져 있다.
이번 간담회에는 도미누스인베스트먼트, Directional, Metadium 등 싱가포르에서 활동 중인 블록체인 관련 창업, 플랫폼, ICO(암호화폐공개) 관련 분야 대표, 변호사 등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이들은 부산의 블록체인 특구 조성 및 나아갈 방향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이 자리에서 전문가들은 "규제를 만드느냐 푸느냐보다 명확한 가이드라인 제시가 우선"이라는데 입을 모았다.
시장을 무조건 열어주고 규제를 풀어주기에 앞서 ICO피해자 보호방안, 자금세탁 문제에 대한 대안과 함께 좋은 기업들을 유치하기 위한 가이드라인 선행이 전문가들의 공통적인 의견.
안태현 Jenga.K 대표는 "블록체인 거래는 전세계적인 추세로, 기술의 폐해보다는 가능성을 보고 악용소지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한다면 생태계활성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다른 관계자는 "블록체인 관련 업체들이 현재 해외 입송금시 애로를 겪고 있는데, 지역금융업계에서 나서 이런 부분을 해소해 준다면 관련 기업들의 투자와 운영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지스타가 개최되는 도시인 부산에서 게임쪽 회사 ICO를 모으면 좋을 것이라는 의견 등 다양한 아이디어가 제시됐다. 시 관계자는 문현금융단지를 한국형 블록체인 허브(특구)로 만들 수 있도록 중앙정부에 건의할 예정이다.
하지만 현재 우리정부는 블록체인 거래를 보증하고 있지 않아 부산시가 정부를 어떻게 설득할 지가 관건이다. 또 이미 특구유치를 희망하는 서울과 제주 등에 다른 시,도 와의 경쟁도 과제다.
유재수 부시장은 "한국의 기술력 가진 기업이 규제와 자금거래가 어려워 외부로 빠져나가는 상황을 안타깝다"면서, "블록체인 기반의 리서치 기업 등도 부산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금융생태계를 만들 필요가 있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그동안 문현금융단지는 동북아 금융 허브로 발전을 모색해 왔다. 하지만 국내 금융사와 일부관련 공기업만 입주한 채 단 1개의 외국계 금융사를 유치하는데 실패. 이에 국제금융단지로서 제역할을 못한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 돼 왔다.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