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광역지방자치단체인 부산광역시와 그 산하 기조지방자치단체 중 하나인 부산 기장군이 충돌할 태세다. 이번 분란의 아이콘은 대규모 해상풍력단지.
오거돈 부산광역시장. ⓒ 뉴스1
기장군에서는 지난 18일자 지역 신문에 보도된 '기장 해안 대규모 풍력단지 추진 해양 생태계·어장 비상' 기사와 관련해 19일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오규석 기장군수. ⓒ 프라임경제
현재 부산시가 부산 기장군에서 해운대구 청사포에 이르는 구역에 540MW급 해상풍력단지 조성을 추진한다는 설이 나돌고 있다. 청사포 앞바다 1.2km 해상에 5MW 40기, 기장읍 죽성∼장안읍 임랑까지 1.2km해상에 5MW 100기의 발전기를 설치한다는 내용.
그러나 기장군은 이미 유사 논의에 대해 강한 불만을 표출한 바 있다. 지난 2017년 1월 기장해안 해상풍력사업이 거론될 주민들과 기장군의회 등의 합심으로 당시 초대형 풍력발전기와 이를 지탱하는 지지구조물, 해저송전케이블, 소음과 진동 등으로 악영향이 우려된다는 내용의 성명이 작성, 발표되기도 했다.
기장군은 부산 유일의 청정해역을 갖고 있어 미역과 다시마, 멸치 등 다양한 수산물을 자랑한다. 여기에 산과 바다가 함께 어우러진 수려한 자연 경관도 메리트다.
그런데 이런 천혜의 관광자원을 가진 해양도시에 원전 단지에 이어 이번엔 대규모로 풍력 관련 시설을 세우겠다는 점은 지역 주민의 불편을 고려하지 않은 부당한 처사라는 공감대가 퍼져 있다.
오규석 기장군수가 기록을 살펴보고 있다. ⓒ 프라임경제
더욱이 오 군수와 오거돈 부산시장은 이미 부군수 임명권 문제를 놓고 불편한 관계다. 관행적으로 부산시에서 행사해 온 부군수 임명 문제가 사실 법적으로는 군수의 권한이기 때문. 오 시장은 이 문제에 대해 오 군수의 개선 요구를 받고 있으나, 아직 뚜렷한 답을 내놓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이번 풍력 이슈로 가뜩이나 첨예한 두 인물간 갈등이 더 증폭될 수 있다는 풀이도 그래서 나온다.
오 군수는 "부산시에서 해상풍력발전단지계획을 철회하지 않고 계속 추진 시 기장군민과 함께 기장 바다를 지키기 위해 계획 철회할 때까지 끝까지 반대운동을 전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