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부산의 ‘초대형비리백화점’으로 불리는 엘시티가 안 끼는데가 없다. 이번에는 부산시장선거판을 통해서 다시금 존재감을 드러낸 것이다.
오거돈 후보와 서병수 후보는 지난 27일부터 줄곧 ‘엘시티(LCT)’를 두고 설전을 벌이다가 급기야 한 후보가 허위사실 공표와 비방으로 검찰에 고발하는 지경에까지 이르렀다. 언론도 예외가 아니다.
먼저 방아쇠를 당긴 쪽은 서 후보다. 자신의 선거캠프에서 기자회견 열어 "엘시티에 대한 최초 200억원 특혜대출이 이뤄진 2013년 4월 30일 당시 BS금융지주 사외이사(리스크관리위원)으로 재직 중이었다"며 "부산을 뒤흔든 희대의 특혜대출이 벌어질 때 이를 감시하고 막아야할 위치에서 고액수당을 받아가며 무슨 역할을 했나?"라며 오 후보를 공격했다.
이어 "사외이사 역할인 견제와 감시는 소홀히 한채 상정된 안건에 대해 반론 한번 없이 모두 찬성했다"며 특혜대출을 알았다면 '직무유기', 몰랐다면 '거수기'라고 맹비난 했다.
하지만 서 후보가 엘시티를 무기로 쓰는 것은 자폭에 가깝다는게 기자의 시각이다.
엘시티가 단돈 200억 짜리 공사였나. 시공사인 포스코가 수주한 순수공사로 알려진 것만 자그마치 1조5000여억원에 달하고, 이를 부산은행이 대출을 약속하며 일사천리로 진행됐다. 그뿐인가. 이에 앞서 2006년 국민건강 증진을 위한 온천센터 예정지를 부산시와 부산도시공사가 "사계절 체류형 시민 친수공간으로 개발을 하겠다"며 상식적으로 도저히 납득할 수 없는 온갖 특혜를 민간 시행사에 제공했다.
셋이 함께 짜고 친 고스톱이 바로 오늘날 '비리종합세트'가 된 엘시티다. 여기엔 광팔이로 전 해운대구청장도 끼었다.
이로 인해 공공재인 해운대해수욕장은 각종 비리에 온상이 되고, 특정 소수의 앞마당으로 만든 장본인들은 현재 구속 수감된 상태다. 이들 중에는 서 후보 측근들도 일부 눈에 띈다.
더군다나 엘시티가 위치한 해운대구는 서 후보 자신이 구청장과 4선 국회의원을 역임한 곳이다. 그의 말대로라면 부산을 뒤흔든 희대의 비리사건이 벌어지는 동안 지역구 의원으로서 직무유기 했다는 비난을 그 역시 피하기 어렵다.
한편 오 후보는 서 후보의 발언에 대해 "해당건은 부산은행장 전결사안으로 사외이사로 재직(2년간)시에는 엘시티대출관련 결의안건 및 보고안건은 없었다"며 "자신이 속한 리스크관리위원회는 자회사의 개별여신 승인 등 투자 의사결정사항에 관여하지 않았다"라며 200억원 최초대출과 자신은 무관하다고 반박했다.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보자. 오 후보가 BS금융지주 사외이사로 재직하던 2013년 당시 '엘시티'는 시로부터 이미 시행에 필요한 행정적인 승인을 필한 채 공사비 대출만 남겨둔 시기였다.
부산을 탐욕의 도시로 만든데 분노한 시민사회단체들은 극렬히 반대했고, 언론들도 앞다퉈 비판기사를 연일 쏟아냈다. 또 민주당부산시당도 적극 동참해 사업저지를 위해 함께 힘을 보태던 때이다.
당시 오 후보는 앞선 두 번의 지방선거에 이어 이듬해인 2014년에도 부산시장 후보로 나선 영향력 있는 야권 유력정치인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모습은 반대 시위현장에서 좀처럼 보기 어려웠다. 서 후보 측이 '강 건너 불구경 한 것 아니냐'며 비난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이날 오 후보가 제기한 '엘시티특검법' 역시 짚고 넘어가야할 대목이다.
전재수, 김해영, 박재호 등 민주당 지역국회의원들을 대동한 오 후보는 엘시티 비리 전면 재수사를 위한 특검도입을 정치권에 요구했고 이에 서 후보도 맞장구쳤다.
하지만 '엘시티 특검'은 이미 지난해 장미대선을 앞두고 여야 4당 원내대표들이 원칙적인 합의를 본 사안이다. 이를 공론화 시킨 장본인이 바로 박 전 대통령이었다. 하지만 뭐가 무서운지 일년 넘도록 국회안에서 표류한 채 밖으로 한발짝도 나올 생각을 않고 있다.
기자는 이날에 앞서 오 후보와 함께 자리한 민주당 의원들을 비롯해 최인호 의원에게도 특검구성 시기에 대해 물은 적이 있다. 이들 대부분이 당시 엘시티 저지에 앞장서서 열일 한 인사들이다.
하지만 당시에 세찬기세와는 달리 '아직은 때가 아니다', '원내대표단에서 처리 할 사안', '곧 진행되지 않겠느냐'며 질문이 당혹스러운 듯 짤막하게 입장을 밝혔다. 순간 당내 낮은 서열인 초선의원들이 감당하기엔 역부족인 사안임을 직감할 수 있었다.
오 후보가 지방선거를 보름 앞둔 시점에서 빼든 '엘시티특검수사' 카드가 공허한 메아리로 들리는 이유다.
흔히 '정치는 생물'이라고 말한다. 자신들의 유불리에 따라서 말과 행동이 바뀌는 것을 의미한다. 도의적인 책임조차 무겁게 여길 줄 아는 '참시장'을 갈망하는 부산시민의 갈증은 언제쯤이면 해소될 수 있을까.
LCT는 지금도 공사중이다.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