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한국선급이 국내 유일의 방사능폐기물 운반선인 '청정누리호' 검사직원에 대한 피폭선량 검사를 단 한 번도 진행하지 않은 사실이 26일 국정감사를 통해 밝혀졌다.
김철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안산시 상록을)은 "한국선급은 청정누리호가 방폐물 운반을 시작한 2010년부터 총 17차례 각종 선박검사를 수행해왔다"며 "해당 선박에 머물며 장시간 작업을 진행해 온 선급 검사원들은 방사능 노출 여부를 확인하는 피폭선량 검사나 건강진단을 단 한 차례도 받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어 선박검사를 맡긴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이하 원자력환경공단)에 대해서도 "방폐물 위해성에 대비한 안전조치를 선박검사 과정에는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며 선사의 책임도 함께 물었다.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이 선사인 국내 유일의 방폐물운반선인 '청정누리호' 모습. ⓒ 김철민 의원실
현장에서 주로 이뤄지는 피폭선량 검사는 선량계로 작업을 마치고 나오는 작업자의 몸에서 선량 노출 여부만 간단히 확인하는 계측장비다.
이에 대해 한국선급 측은 "김 의원 주장과 달리 검사원에 대한 건강검진은 매년 진행해왔고, 혈액검사를 통해 백혈구수로 피폭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며 별도의 피폭선량 검사를 하지 않은 이유를 설명했다.
선사인 원자력환경공단 측도 "규정상 방사선 관리구역 지정은 화물선적공간에 한하며, 이 역시도 방폐물 선적 시에만 임시관리구역으로 지정한다"며 "화물이 없을 때는 일반선박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고 응대했다.
청정누리호는 2009년부터 올해까지 아홉 차례에 걸쳐 9300드럼(186만리터)에 달하는 중·저준위 방폐물을 울진·영광·고리 원전에서 방사성폐기물처리장이 있는 경주까지 실어 옮겨왔다. 이 과정에서 원자력환경공단측 승선원 351명 전원은 피폭선량 검사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방폐물의 위해성을 인식하지 못한 한국선급, 그리고 별다른 조치 없이 선박검사를 맡긴 한국원자력환경공단. 이 두 기관의 방치 속에 선급 검사원들은 정작 자신들은 간단한 피폭선량 검사조차 받지 못한 채, 청정누리호에 머물며 선박검사에 투입돼왔다.
한편 한국선급은 국내 대형선박에 안전검사를 책임지는 대한민국 유일의 국제선박 검사기관이다.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