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다시 뛰는 수출심장: 부산①] "이것이 세계 최초·최강" 수출 견인

동아전기공업·제이코·유엔비·티엠비스틸·에스엠베스트 등 5개사 선정

서경수 기자 | sks@newsprime.co.kr | 2017.08.04 18:05:35

[프라임경제] 신발과 섬유산업이 국내 수출 효자품목이던 1970년 초. 부산은 전체 국내수출 30%를 책임진 '수출 맏형'으로 경제성장을 견인했다. 하지만 중화학공업시대로 산업 환경이 급변하던 80년대, 여전히 경공업 산업구조를 탈피하지 못한 채 스스로 도시 미래성장 동력을 잃어갔다. 

기업들은 대규모 산단이 조성된 울산, 창원 등지로 값싼 용지를 찾아 떠났다. 소비 중심이던 생산인구 역시 일자리를 찾아 썰물처럼 도시를 빠져 나갔다. 그 결과, 고령화인구 전국 1위, 국내 100대 기업 1개사, 국내 총수출 3%라는 초라한 성적표가 '제2 도시 부산'의 현주소로 남았다. 여기에 지난해 터진 한진해운 사태 여파로 가뜩이나 쪼들려 온 지역경제는 언제 걷힐지 모를 먹구름 속을 헤매는 처지가 됐다.  

프라임경제(영남본부)와 한국무역협회 부산본부는 수출 본거지 '수출 심장 부산'을 다시 살린다는 취지로 [다시 뛰는 수출심장: 부산] 기획시리즈를 마련했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글로벌 기술력을 갖춘 지역 우수유망 중소기업을 발굴, 이들의 역량을 조명하는 자리다.


◆동아전기공업(주)…세계 최초 자동 'IOT 연동형 전동식 차단기' 개발

김태우 동아전기공업(주) 대표

동아전기공업(주)은 60년 넘는 역사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1차 전기관련기업이다.

과부하와 누전으로 인한 설비의 파손과 화재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는 차단기를 전문 생산한다. 주력 품목은 MCCB(배선용 차단기), MC(전자 개폐기)로  완전전자식 및 열동전자식을 채택한 기종으로 소형화가 특징이다.

다양한 기종에 부착이 용이한 호환성과 경제성은 국내는 물론 해외시장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는다. 

1955년 부산 영주동에서 시작한 동아전기공업(주)의 기술력과 품질은 그동안 수많은 국가인증과 수상을 통해 검증 받았다. 1985년 KS 표시 허가, ISO 9001 품질시스템 인증 획득, 2000년 KOTRA 주관 수출업체 선정된 데 이어 국무총리상, 부·울중기청 우수중소기업인상, 산자부장관상 등을 수상하며 수출 강화 노력을 기울인 공로를 인정받았다.

지난 2014년 서일기전을 인수 한 동아전기공업(주)는 올해를 '품질향상 원년'으로 삼아 주요수출국인 △러시아 △이란 △사우디 △베트남, △도미니카 등에 400만달러 수출 달성에 성공했다. 또 월 16만개 생산가능 한 세계 최초 자동 ON/OFF 사물인터넷(IOT) 연동형 전동식 차단기를 개발 중이다.

김태우 대표는 "현재 개발 중인 IOT 연동형 전동식 차단기는 전기차단기 시장에 새로운 혁신을 가져 올 기술이다"며 "이를 통한 국제가격 경쟁력 확보와 함께 생산라인 증설로 20명의 신규인력 창출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유엔비(U&B)…16년 노하우 메디컬 피부미용노하우 '시에스킨'   

오철현 유엔비 대표

전세계 50조원 규모의 뷰티시장은 매년 8%씩 성장하는 알짜 중의 알짜 시장이다. 유엔비(U&B)는 코스메슈티컬과 피부미용기기를 제조하는 피부미용 전문기업이다.

'코스메슈티컬(cosmeceutical)'이란 화장품과 의약품을 합성한 신조어로 의학적으로 검증 된 성분을 함유한 제품을 의미한다. 과거엔 주로 피부과, 에스테틱 등에서 주름과 피부트러블이 심한 환자에 치료를 목적으로 주로 사용돼 왔다. 하지만 최근엔 국내 화장품과 제약업계가 앞다투어 제품을 출시할 정도로 관심이 뜨거운 분야다.

전세계 코스메슈티컬 시장은 50조원으로 추산되며, 국내에선 매년 8%씩 성장하고 있다. 

유엔비는 올초 16년 간의 메디컬 피부미용 노하우가 담긴 '시에스킨(CIESKIN)'을 출시, 본격적인 세계시장 진출을 노린다.

시에스킨은 앰플흡수와 콜라겐, 엘라스틴 등의 생성을 빠르게 돕는 생체전류 MTS토닝 외 네 가지의 기능을 갖고 있다. 또 팁 교체만으로도 누구나 손쉽게 사용 가능하며, 펩타이드 솔류션과 기기를 이용해 피부의 특성상 화장품이 쉽게 흡수되지 못하는 단점도 극복했다.

오철현 유엔비 대표는 "이미 입소문을 통해 캐나다 등 해외 바이어가 직접 본사를 방문했고 뉴질랜드, 중국 등에서도 샘플요구와 제품구매 문의가 크게 늘고 있다"며 "차별화된 자연주의 코스메슈티컬 시에스킨으로 세계인에게 아름다운 피부를 선사하고 싶다"고 말했다.


◆(주)제이코…국내점유율 1위, 세계 최초 'RF Auto Down Stream' 기술 

변도우 제이코 대표

무선 원격 조종기 연구와 생산에 특화된 기술을 보유한 산업용 무선리모콘 제조기업이다.

산업용 무선리모컨은 사고 위험이 높은 산업현장에서 무거운 자재를 운반하는 타워크레인, 화물승강기, 호이스트 등 중장비 운전에 사용된다.

근거리에서 사용하던 유선리모컨과 달리 먼 거리에서도 원격조정이 가능해 안전성과 편리성이 뛰어나다. 특히, 안전사고가 빈번한  제철소, 발전소, 공사현장에서 재해예방에 큰 역할을 담당한다.

제이코는 이 분야 국내업계 선두기업으로 올해 내수시장 점유율 80%를 목표한다. 기업부설연구소를 두고 꾸준한 연구와 선도적 기술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신제품 출시를 통해 국내 최초로 무선리모콘 '본질 안전 방폭제품인증' 획득하며, 정부로부터 벤처기업에 선정됐다.

최근엔 수신기에서 송신기로 바로 복사까지 가능한 'RF Auto Down Stream' 기능을 세계 최초로 선보였다 이란과 터키 및 베트남 등에 제품수출이 늘면서 해외시장에서도 충분한 경쟁력을 갖췄다는 평가를 얻고 있다.

변도우 대표는 "산업용 무선제어 분야에서 세계 어떤 기업과 기술 경쟁을 해도 뒤쳐지지 않을 자신이 있다. 앞으로도 첨단 기술력을 바탕으로 관련 산업 분야에 선두주자의 길을 걸어 갈 것"이라고 말했다.


◆(주)티엠비스틸…세계 대형건설현장 누비며 25개 철강거래선 움켜쥐어

티엠비스틸 CI

중소철강제조사와 해외건설사를 연결하는 철강전문 무역상사다. 국내에 많은 중소철강기업들이 해외수출에서 겪는 가장 큰 어려움 바로 기한 내 납기다. 대형철강제조사가 주력하는 강판, 파이프 등 단품종 대량 생산과 달리, 수십 가지에 이르는 배관자재들로 다품종 소량생산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이에 제품을 수주하고도, 제때 출고를 못해 예정된 선적일을 놓치는 경우가 다반사로, 이는 바로 기업이미지 하락과 직결되며, 국가 대외신뢰도에도 나쁜 영향을 미친다.

티엠비스틸은 오랜 해외영업을 통해 축적 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고객의 긴급수요를 예측하는 '사전주문발주시스템'으로 고객이 필요로 할 제품을 미리 제조사에 발주, 이를 물류창고에 보관해 일정에 맞춰 차질 없이 공급한다. 이는 해외 현지 공사 진행 사정에 정통한 전문무역상사가 아니고선 진행하기 힘든 시스템이다. 

주요 거래선은 미국, 캐나다 중동지역에서 건설되는 석유시추, 발전소 등이며, 지난 2015년 'ISO 9001 Quality System Certificate'를 취득했다.

박승훈 대표는 "현재 근무 중인 해외파트 직원 모두 동업종에서 5년 이상의 경험을 갖고 있다"며 "신뢰를 최우선으로 제조사와 유기적인 업무공유를 통해 차질 없이 납기하고 있다"고 말했다.


◆에스엠베스트…커피향 나는 친환경 3D 프린트 개발

안성진 에스엠베스트 대표. ⓒ 프라임경제

3D 프린터 소재를 친환경 제품으로 개발 생산하는 기업이다. 환경과 사람을 생각하는 기업 이념을 바탕으로 버려지는 커피찌꺼기를 친환경 3D 프린터 필라멘트 소재로 개발해 판매 중이다.

출력 시 커피향이 나고, 기존 PLA보다 견고함이 특징이며, RoHS2 시험을 통해 유해물질이 전혀 검출되지 않아 교육용 소재로 크게 각광 받고 있다. 이와 함께 출력과 출력물에서 피톤치드를 발산되는 '피톤치드필라멘트', 버려지는 한방약재를 이용한 '한방 필라멘트'도 곧 출시 앞두고 있다.

주요 해외 수출국은 대만, 네델란드 등이며, 회사 설립 3년 만에 매출 40배 이상에 빠른 성장세를 기록한 유망기업이다.

안성진 대표는 "어린이들에게 깨끗한 환경을 물려주기 위해 유해물질이 없는 친환경 소재 사업을 시작했다"며 "앞으로도 3D프린터 사용자분들의 건강을 고려한 힐링 소재를 지속적으로 개발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2016 대한민국 녹색에너지 우수기업 대상 수상 △2016 대한민국 좋은제품 HIT500 선정 △2016 도전 K-스타트업 본선 진출(중소기업청 으뜸상 수상) 등의 수상 경력이 있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