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부산시는 창의성과 상상력의 놀이터로서 공공도서관 활성화 계획을 수립해 도서관의 체질을 개선한다.
부산시에 따르면, 그동안 공공 도서관은 공부방 위주의 시설과 시민 접근성이 떨어지고 전국 최하의 도서관 인프라 시설 등으로 독서중심의 공공도서관 환경을 갖추지 못했다.
이에 부산시는 도서관 정책을 마련을 위한 도서관 통합서비스 실현 등 협력체계 구축, 스마트 폰 등 다양한 정보기술을 활용한 융·복합 도서관서비스 수요 증가와 관련 미래도서관의 모습과 역할을 모색해 왔다.
그 결과 올해 초 도서관 활성화 계획을 마련, 장기적인 계획(안)을 가지고 부산시 도서관의 체질을 개선하겠다고 부산시 관계자는 밝혔다.
이를 위해 부산시는 현재 38개에서 2025년에는 67개로 더 확충, 전국 수준의 도서관 인프라 시설을 갖출 예정으로, 도서관 수가 부족한 자치 구·군을 중심으로 우선 건립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노후화된 교육청 운영 도서관에 대해서는 재구조화 관련 용역을 실시 리모델링(안)을 마련. 개관 30년 이상 도서관부터 자료실 위주의 도서관으로 리모델링 추진하고, 작은 도서관은 현재 323개에서 2020년에는 400개관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특히 시민이 10분내 도서관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하겠다는 입장.
여기에 공공도서관의 내실화를 위해 도서구입비를 확대 지원, 시민 1인당 책 수를 현재 1.35권(2017년)에서 2권(2020년)으로 확대하고, 사서 인력 수급도 사서 1인당 서비스 인구수를 1.4만(2017년)→1.1만(2020년)으로 개선, 시민이 도서관을 통해 편리하게 독서활동을 하도록 적극 유도할 방침이다.
도서관을 중심으로 한 '책 읽는 부산' 조성을 위해 독서중심의 도서관 서비스, 도서관의 인문학 거점센터 지향 관련 예산을 문체부 등과 협조, 공모를 통해 적극 지원 할 계획이다.
또 시민의 도서관 이용 활성화를 위해 공공·작은 도서관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도서관 지도'를 제작, 도서관 위치, 이용방법 등을 소개 시민의 도서관 이용편리를 도모한다.
부산시 관계자는 "창의성과 상상력의 지식놀이터 공공도서관 활성화 계획을 통해 공공도서관을 독서중심으로 개편, 시민의 독서 서비스 개선에 최선을 다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