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부산·경남 일자리 2020년까지 1만9000여개 사라지고, 그 자리는 로봇과 인공지능이 대신한다."
BNK금융경영연구소가 27일 발표한 '4차 산업혁명과 동남권 일자리' 연구 보고서에서 이같이 말했다.
보고서는 4차 산업혁명은 혁신기술의 진보속도와 적용범위가 이전의 산업혁명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빠르고 광범위 해 산업전반에 미치는 영향력도 상당하며, 특히 제조업 일자리 감소 충격이 클 것으로 예상했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4차 산업혁명은 로봇, 인공지능 등이 기존 일자리를 대체하면서 본격적인 고용 감소형 경제성장으로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전국 일자리 감소율 추정한 결과, 제조업 비중이 높은 충청권(0.71%), 대경권(0.68%), 동남권(0.62%) 모두 전국평균(0.47%)보다 높고, 동남권 지역 내에서도 경남(0.79%), 울산(0.78%)이 부산(0.39%)보다 두 배 가까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제조업기반인 지역은 이미 4차 산업혁명 영향으로 일자리 감소시대에 진입한 것으로 보고서는 보고 있다.
직업군으로 생산·제조업 1만4000명, 사무·행정직 4600명, 건설·광업 1600명 감소하고, 지역별로는 경남 1만개, 부산 5000개, 울산은 4000개 정도가 사라질 것으로 전망했다.
BNK금융경영연구소 백충기 수석연구위원은 "4차 산업혁명 시대 일자리 감소의 충격을 최소화하는데 우선순위를 두고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면서 "향후 일자리 해법이 될 수 있는 스타트업 육성을 위한 생태계 구축에 상당한 자원을 집중하면서 동남권 인더스트리(industry) 4.0 전략을 완성해 나가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세계경제포럼은 △행정 △법률 △생산·제조 △디자인·방송기술 △건설·광업 △시설관리·정비 등을 4차 산업혁명시대 6대 비(非)유망 직업군으로, △컴퓨터·데이터과학 △건축·엔지니어링 △경영관리 △비즈니스·금융 △영업관리 △교육·훈련 등을 6대 유망 직업군으로는 꼽았다.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