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올 4월 부산지하철 1호선 다대구간 연장선 개통을 앞두고 크고작은 사고가 연발하면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부산교통공사의 책임론 역시 공론화될 조짐이다.
부산지하철노동조합을 비롯한 시민단체들은 "박종흠 사장이 연임을 위해 구조조정과 노조탄압을 강행하면서 안전은 뒷전이 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무엇보다 공사가 책임을 피하기 위해 사고를 축소, 은폐했다는 정황도 적지 않다.
지난 8일 오전 10시32분경 자갈치역에 도착한 전동차가 출입문 고장을 일으켜 운행이 지연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고장 열차는 다대구간 연장선 개통을 앞두고 새로 도입한 신형차량으로 앞서 작년 9월 노조는 사측과 공동으로 진행한 차량 점검에서 출입문 고장 가능성을 지적한 바 있다.
노조 관계자는 "사측이 그때 드러난 문제를 개선하지 않은 채 무리하게 신형차량을 투입했다"며 "심지어 열차지연시간을 실제보다 10분이나 축소 발표하는 등 축소, 은폐하려는 의도가 엿보인다"고 말했다.
사고 당시 공사 측은 열차가 8분 동안 운행지연됐다고 밝혔지만 이후 시민단체의 사실 확인 요청에 18분으로 정정한 바 있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열차 지연 시간이 10분을 넘기면 시와 국토교통부에 보고해야 하지만 10분을 넘기지 않으면 관계부서에만 보고하면 된다"며 "상부로 사고 사실을 알리지 않으려고 축소발표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또한 단순 출입문 고장도 원인이지만 신형차량에 대해 기관사들의 숙련 교육이 부족한 것도 추가 사고 가능성을 키우고 있다고 입을 모았다. 기존 차량과 운전시스템이 완전히 다른 신형차량은 숙련 교육이 필요하지만 부산교통공사가 인력 부족과 개통 일정을 이유로 겨우 나흘 만에 교육을 종료했다는 것이다.
아울러 작년 12월 노조와 협의해 신형차량 영업운전 시 교육과장을 동승하겠다고 약속했지만 고장 열차에는 교육과장이 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5일에도 다대포해수욕장역 내 열차 유치선에서 시운전 열차가 터널 내 계단에 부딪치는 사고가 있었다. 이날 오후 5시경 벌어진 일로 다행히 승객이 타지 않는 시운전 중이라 큰 피해가 생기지 않은 게 다행이었다.
노조 관계자는 "영업 중인 열차에서 발생한 사고였다면, 장시간 열차 지연 등 혼란이 발생했을 것으로 보인다"며 "이번 사고 역시 관련기관에 보고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한편 1호선 신형 LTE-R무전기 통화 불능 가능성도 불거졌다. 노조 측은 "1호선의 경우 모두 신형 LTE-R 무선 통신으로 변경됐는데 8일 사고 때는 무선 설비가 불통이 되면서 운행지연이 길어졌다"며 "통신은 위급 상황이 발생하면 가장 중요한 장비인데 이런 통신 불량 현상이 수시로 발생하고 있어 걱정이 크다"고 지적했다.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