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부산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공동대표 김대래·원허·이만수·한성국)은 2016년을 마감하 경실련 회원과 일반시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2016년 부산지역 10대 뉴스를 발표했다.
부산경실련이 선정한 10대 뉴스 중, 1위는 '경주 지진 이후 부산의 안전을 위협하는 신고리 5, 6호기'로 선정됐다. 작년에 이어 올해도 최고의 화두는 '안전'이었다. 관측 이래 최대 규모인 리히터 규모 5.8의 경주 지진 이후 인근 원전의 위험성이 크게 다가왔다.
특히 신고리 5호와 6호기 승인과정에서 지진 관련 안전 사항 일부가 누락된 사실이 알려지며 사업을 전면 백지화해야 한다는 여론에 힘이 실렸다.
2위는 엘시티 관련 전방위 비리 의혹이었다. 해운대 엘시티 인허가 과정부터 특혜 의혹이 끊임없이 제기됐고 정관계와 재계를 망라한 비리가 일부 검찰 수사를 통해 드러난 바 있다. 지역 시민들은 검찰이 철저한 수사를 통해 모든 의혹의 실체를 낱낱이 밝히길 기대하고 있다.
또한 가덕도신공항 추진과 관련해 일부 백지화 및 김해공항 확장으로 사업 축소가 결정된 것이 공동 2위에 올랐다. 정치권 이해득실에 따라 휘둘리던 신공항 추진이 결국 김해공항 확장으로 결론나면서 많은 시간과 예산이 낭비, 영남원 지역민 모두에게 상처를 남겼다.
4위는 올해 제정된 부산광역시 사회적경제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가 선정됐다. 사회적, 경제적 발전을 위한 조례 의의를 살려 일자리 창출과 사회서비스 확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5위는 4.13 총선 결과 야당의 부산지역 5석 획득이 꼽혔다. 이밖에 △한진해운 법정관리 △주한미군 주티퍼 프로젝트(생화학전 대응 프로그램) 파문 △부산아시아원페스티벌 무용론 △부산국제영화제 영화인 보이콧 논란 △광안리 해상케이블카 환경훼손 논란 △MRG 재협약 이슈 등이 꼽혔다.
부산 경실련 측은 "올해도 부산 시민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전'이었다"며 "경주 지진 이후 부산을 비롯한 동남권이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것이 드러나 가까이 있는 원전 관리에 더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는 메시지가 확인됐다"고 말했다.
또 "전부터 해결되지 않은 문화계와의 갈등과 엘시티 특혜 의혹 등 정경유착 비리 등은 부산시민들에게 큰 실망감을 안겼으므로 반드시 제대로 매듭을 지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