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민 등 운동본부 관계자들이 부산 지역 중학교 의무급식 전환 실현을 주장하고 있다. ⓒ 안전한학교급식을위한부산시민운동본부
[프라임경제] 지난 10월27일 부산시청앞 광장에 급식판을 든 40여명의 학부모와 시민들이 "부산에서도 중학교까지 의무급식을 전면 실시할 것"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가졌다.
안전한 학교급식을 위한 부산시민운동본부(김경준 집행위원장)은 "지난 주 인천시가 내년부터 중학교까지 무상급식을 전면 실시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보고, 부산에서도 긴급히 기자회견을 개최하게 됐다"며 "재정위기를 겪고 있다고 알려진 인천시가 내년부터 중학교까지 무상급식을 실시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볼 때, 부산시의 예산 부족 주장은 의무급식을 하지 않으려는 핑계일 뿐이다"고 말하며 부산시장의 결단을 촉구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이정은 공동대표(부산교육희망네트워크)는 "부산시는 예산이 부족해서 급식지원예산을 증액할 수 없다고 하면서 모 방송국의 드라마에 예산을 30억원이나 지원하다니 부산시의 예산지원 기준이 도대체 무엇이냐"며 따져 물었다. 이어 "드라마보다 부산의 미래인 학생들의 급식에 더욱 많은 예산을 증액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세 명의 자녀를 키우고 있는 학부모 김소영씨는 "아이 셋이 급식비로 한달에 15만원이 들어간다"며 "결코 적은 돈이 아니며, 이런 부산시 환경이 부산시장님이 말하는 '아이 낳아 키우기 좋은 도시 부산'이냐"고 중학교까지 무상급식 전면 실시에 목소리를 높였다.
기자회견문 낭독에 나선 이효정 공동대표(안전한 학교급식을 위한 부산시민운동본부)는 "지금도 늦었다. 당장 중학교 의무급식을 전면 실시해야 하며 타 시도에 비해 터무니 없이 모자란 부산시의 급식지원예산을 전국 평균이라고 맞춰 달라"고 요구했다.
기자회견에 참석한 시민들도 입을 모아 "서병수 시장 취임 이후 단 한 차례 급식지원예산 증액이 없었다"며 "아직도 재정상태를 고려해야 한다면 서시장은 능력도 자질도 없는 부산시장임을 스스로 인정하는 것"이라고 원성을 털어 놓았다.
한편, 이날 기자회견에 참가한 학부모와 시민들은 서병수 부산시장과 부산시의회, 그리고 김석준 교육감에게 중학교 의무급식 전면실시를 촉구하는 공개서한을 전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