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부산항만공사를 비롯한 부산항발전협의회(공동대표 이승규), 부산항을사랑하는시민모임 등 부산의 시민단체들이 한진해운을 살리기 위해 긴급 성명서를 발표하고, 국가 정책금융기관의 본분을 촉구했다.
시민단체들은 31일 성명을 내고 "한진해운의 채권단은 유동성 지원은 하지 않고 오직 자구노력만을 강요한 결과 선박이나 터미널 같은 자기 살을 깎아내는 몸부림도 이제 한계에 다다랐다"며 "채권단은 30일 더 이상의 지원은 없다며 본연의 책무를 저버리는 무책임한 결정을 내렸고, 해운·항만·조선을 비롯한 연관산업의 막대한 손실과 수많은 일자리가 사라지게 됐다"고 채권단의 무모한 결정을 규탄했다.
시민단체들은 "세계 7위 정기선사며, 국내 1위의 해운선사로서 한국해운70년사의 결정인 한진해운을 청산에 이르게 하는 채권단의 무모하고 졸속적인 결정을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다"며 "채권단은 이미 엄청난 지원이 있었던 마냥 추가지원은 없다고 누누이 공언했으나 해운산업에 대한 지원은 없었다"고 꼬집었다.
이와 함께 "한진해운이 채권단 요구로 자산을 처분해 마련한 수조원의 유동성을 채권단에서 회수해 간 것, 자구노력으로 마련한 유동성이 어디에 쓰였는지 소상히 공개하라"며 해운산업에 대한 지원내역을 낱낱이 밝힐 것을 촉구했다.
또 "정책금융기관은 해외 선주에게만 금융지원을 집중해, 한진해운이 용선료 협상을 벌이는 해외선주들이 바로 우리 국책은행의 지원으로 성장한 선사라는 사실을 잊지말라"고 비난했다.
계속해서 "해외 채권단들도 자신들이 보유한 채권의 유예를 받아들였음에도 채권단의 지원거부 결정은 도저히 납득할 수가 없다"며 유동성지원 거부결정의 근거를 낱낱이 밝힐 것과 국책은행의 해외선주에 대한 지원내역을 공개할 것을 요구했다.
마지막으로 시민단체들은 한진해운의 유동성의 위기를 타개하고 경영정상화를 위해 △한진그룹 조양호 회장의 사재출연 △부산시, 부산항만공사, 부산권 금융·상공업계 등의 공동지원 △한진해운의 산업은행 자회사로의 편입 △한진해운 본사 부산 이전 등 네 가지 대안을 제시했다.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