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부산항만공사(BPA, 사장 우예종)는 26일 오후4시(현지시각)에 개최되는 파나마운하 확장개통기념식에 참석한다고 21일 밝혔다.
파나마운하는 북미와 남미를 연결하는 지협에 위치해 대서양과 태평양을 연결하는 최단거리 수로로 세계 해상무역량의 약 6%가 통과하는 글로벌 핵심 해운 인프라다.
하지만 2007년 야간운행 제한 해제에 따른 운하 최대 이용량 근접, 선박 대형화에 따른 운하 효용성 논란으로 끊임없이 확장 필요성이 제기돼 2007년 52억5000만달러 규모의 운하 확장 공사를 시작, 10여년만인 올해 6월 공사를 마쳤다.
이 확장공사로 최대 1만4000TEU급 컨테이너 선박이 파나마를 통과하는 것은 물론, 제 3갑문 개통에 따라 하루 최대 10~15척의 선박이 추가 통과할 수 있게 됐다.
특히 규모의 경제 달성을 위한 선사들의 아시아~미동부서비스 투입 선박 대형화가 예상되는 가운데 미동부 주요 항만들이 85억달러 규모 항만 인프라 투자를 추진하고 있다.
이런 만큼 향후, 항만 및 운송수단 간 화물 집하를 위한 경쟁 심화 및 해운 서비스 개편 등 파나마를 중심으로 한 해운업계의 일대 변화가 예상되고 있다.
부산항만공사는 이번 방문 기간 중 파나마운하관리청(ACP)을 찾아 부산과 파나마의 해운물류산업 동반성장을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운하의 확장 개통을 두 지역의 환태평양 환적허브 위상 강화를 위한 기반 구축의 계기로 삼을 계획이다.
한편, 지난해 파나마운하를 이용한 선박은 1만2386척으로 22만9143톤의 화물을 처리했으며, 이중 미동안-아시아 간선항로 화물이 전체 통과화물의 35.8% 점유했다.
부산항만공사는 이번 파나마운하 확장에 따른 대형선 투입으로 파나마운하 통과 서비스 및 통과화물량의 증대가 예상되며, 부산항도 환적 물동량이 증대할 것이라는 기대감을 내비치고 있다.
우예종 사장은 "파나마운하의 확장은 세계 항만·물류시장에 혁신을 가져올 사업으로 부산항의 환적물동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어 "해운서비스 효율성 제고를 통해 전 세계 물류시장 성장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부산과 파나마 간 지속적 협력 방안 마련을 통해 두 지역의 동반 성장을 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