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부산시-해운대구-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 업무협약 체결

해운대지역 글로벌 스마트시티 조성 협약 체결

서경수 기자 | sks@newsprime.co.kr | 2015.11.05 09:04:21

[프라임경제] 부산광역시는 11월4일 오전11시 시청 국제의전실에서 해운대지역을 글로벌 스마트시티로 조성하기 위해 부산시-해운대구-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 간 상호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지난해 10월 ITU 전권회의를 개최하면서 '부산 이니셔티브 선언'을 통해 부산을 사물인터넷기반의 스마트시티로 조성할 것을 선언했으며, 해운대 지역을 시범지역으로 선정, 올해 3월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에 사물인터넷 생태계 조성 사업을 시작했다.

이에 오는 2019년까지 1035억원을 투입해 안전·교통·관광·에너지·환경·생활편의 25개 분야에서 스마트시티 서비스를 단계적으로 구축할 방침이다.

서비스 구현 목표는 △즐거움과 편리함을 주는 관광·교통인프라 △지능형 방범·방재 인프라 기반의 안전도시 △에너지 절감 실천의 녹색 도시 △시민 주도형 사물인터넷 선도 도시다.

부산시는 우선적으로 지난 4월부터 스마트 가로등, 사회적 안심서비스, 미아방지 서비스, 해상안전 서비스 등 10개의 실증사업을 추진하고 국제표준기반의 개방형 플랫폼을 개발해서 올해 12월 서비스가 개시된다.

향후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온실가스를 줄이는 스마트 그리드, 집에서도 헬스케어 등 원격진료가 가능한 의료서비스, 전기요금 할인 시간에 맞춰 작동되는 스마트 가전 등이 도입된다. 

부산시는 세계최고 수준의 스마트시티를 만들겠다는 의지로 지난 7월 국회에서 '글로벌 스마트시티 비전 선포식'을 개최하고, 이날 글로벌 기업과 국내 대기업 관계자들과 '부산 스마트시티 민관협의체'를 구성했다.

김상길 부산시 ICT융합과장은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클라우드, SW융합, 정보보호 산업 등을 부산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삼아 혁신적인 창업 생태계를 만들어서 100개의 중견기업을 육성할 것"이라며 "부산의 주력산업인 기계, 섬유, 신발, 서비스 산업에 IoT를 융합하고, 로봇, 바이오, 디지털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시켜 부산의 산업체질을 첨단산업으로 바꾸어, 창조경제 활성화 및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해 나갈 것이다"고 말했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