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국민 78.4% 소비쿠폰 신청…김치·쌀·고기 소비 급증

7조1200억원 지급 완료…"현금깡 등 악용시 전액 환수·형사 처벌"

배예진 기자 기자  2025.07.28 11:45:38

기사프린트

[프라임경제] 국민의 78.4%가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신청했다. 지급된 지원금은 7조1200억원이다. 무엇을 샀을까. 편의점에선 김치, 쌀, 고기류 등 신선식품 소비가 급증했다. 본격적인 소비가 이번주부터 이뤄질 것으로 예상돼 골목상권도 고무돼 있다. 

행정안전부가 28일 밝힌 내용에 따르면 △경기도(1085만182명) △서울(723만1588명) △인천(252만6630명) △부산(247만2644명) △경남(245만6129명) 등 3967만명이 신청했다.

지급 방식별로 보면, 신용·체크카드가 74.94%(2972만7451명)로 가장 많았다. △모바일·카드형 지역사랑상품권 15.41%(611만5879명) △선불카드 8.12%(322만3628명) △지류형 지역사랑상품권 1.53%(60만6462명)로 뒤를 이었다.


소비쿠폰 지급 이후 주요 사용처로 떠오른 곳은 편의점이다. 대형마트 사용이 제한된 상태에서 거주지역에서 쉽게 갈 수 있는 곳이 편의점이는 이유에서다. 눈에 띄는 것은 기존에 잘 팔리지 않던 김치, 쌀, 고기류 등 신선식품 소비가 급증했다는 점이다. 

편의점 3사(GS25·CU·이마트24)에 따르면 소비쿠폰 지급이 시작된 지난 22일부터 23일까지 GS25의 김치 매출은 전월 같은 기간보다 99% 증가했다. 지난 22일~24일 CU의 김치 매출도 26%, 이마트24도 14% 올랐다.

쌀·잡곡 등 양곡류의 매출도 지난 22일~24일 기준, 전월 동기 대비 △이마트24(136%) △세븐일레븐(80%) △CU(70%)도 늘었다.

편의점 업계 관계자는 "사용처가 거주 지역 내로 제한돼 가장 쉽게 찾을 수 있는 편의점에서 소비가 많이 이뤄진 것으로 풀이된다"며 "실제로 편의점 상권별로 주거 상권 내 편의점 매출 증가율이 가장 높다"고 분석했다.

골목상권도 소비쿠폰에 대한 기대감이 큰 상태다. 골목시장 곳곳엔 '소비쿠폰 사용 가능'이라는 안내 홍보물이 부착돼 있었다. 

김은희 대전 유성구 은구비서로 상인회 회장은 "골목형 상점가로 지정된 이후 온누리상품권 가맹률 100% 달성, 올해 특성화시장 지원사업까지 겹쳐 상인들이 크게 고무돼 있다"고 전했다.


한편 내수 진작과 골목상권 살리기 등의 정부 의도와는 다르게 소비쿠폰이 남용되는 사례도 있어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중고거래 플랫폼 앱 당근마켓에는 소비쿠폰을 현금화하려는 게시글이 올라왔다. 또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소비 쿠폰으로 담배를 구매했다는 인증 글도 올라오면서 논란이 되고 있다. 

소비자들은 담배 소비를 국가가 조장하는 것이라며 지적했다. 실제로 2020년 코로나19 재난 지원금 지급 당시에도 담배 판매량은 전년 동기간 대비 4% 증가했다. 이에 행안부는 편의점에서 판매되는 담배나 고가의 전자제품, 주류 구매에 쓰이는 것을 막기 위해 최근 한국편의점산업협회와 주요 편의점업체 임원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행안부 관계자는 "취지에 어긋나는 특정 품목 판매를 자제해달라"며 "현금화 행위 적발 시에는 지급된 지원금 전액 환수 조치와 함께 형사 처벌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경찰도 쿠폰 사용기한인 11월30일까지 불법 유통에 대한 특별단속을 실시한다. 소비쿠폰을 이용한 보조금 편취나 사기성 판매 행위에 대해서는 형법상 사기죄로 최대 10년형에 처할 수 있다.

한편 1차 소비쿠폰은 9월12일 오후 6시까지 신청 가능하다. 2차 신청은 9월22일부터 10월31일까지 지급된다. 2차 신청은 건강보험료를 활용해 소득 하위 90%에게만 1인당 10만원을 추가 지급된다. 1, 2차 모두 사용 기한은 11월30일까지다.